요즘 한국 사회에서는 “아보하(아주 보통의 하루)”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화려한 성공이나 극적인 사건보다, 평범하고 잔잔한 하루 속에서 행복을 찾자는 의미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 담론이 현대의 피로한 경쟁 사회에 대한 반발로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보수주의 철학자 마이클 오크쇼트(Michael Oakeshott) 의 사상과 깊은 접점을 가진다는 점입니다.
오크쇼트는 “정치는 낙원을 건설하는 기술이 아니라, 항해 중인 배를 조심스럽게 몰아가는 기술”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인생을 거대한 이상이나 계획으로 재단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지금 여기의 삶”, 즉 우리가 이미 살아가고 있는 질서와 관습, 그리고 일상적 관계 안에서 발견되는 의미를 존중했습니다. 그의 철학은 변화보다 ‘지속의 지혜’, 혁명보다 ‘습관의 안정감’을 더 가치 있게 보았습니다.
‘아보하’가 지향하는 삶의 태도 또한 이와 닮아 있습니다. 우리는 늘 “더 나은 내일”을 꿈꾸며 현재를 소모합니다. 하지만 오크쇼트는 ‘삶을 살아간다는 것은 항해 그 자체’라고 보았습니다. 목적지보다 항해의 과정, 즉 매일 반복되는 평범한 순간들 속에서 인간의 품위를 찾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는 단순한 체념이 아니라, 인간이 불완전한 존재임을 인정하고 그 안에서 질서와 의미를 찾으려는 성숙한 태도입니다.
보수주의는 종종 과거에 집착하거나 변화를 거부하는 사상으로 오해받습니다. 그러나 오크쇼트의 보수주의는 “평범한 인간의 경험을 존중하는 태도”에 더 가깝습니다. 사회의 급변 속에서도 우리가 지켜야 할 것은 ‘보통의 하루’ 속에서 이어지는 관계, 예절, 전통, 그리고 작은 기쁨들입니다.
‘아보하’가 단순한 유행어로 끝나지 않으려면, 우리는 그 속에 담긴 철학적 의미를 되새겨야 합니다. 오크쇼트의 말처럼, 삶은 어떤 목표를 향한 수단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의 항해 그 자체입니다. 아주 보통의 하루를 사랑할 수 있을 때, 우리는 비로소 안정된 사회와 인간다운 품위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The Era of “Aboha” and Michael Oakeshott’s Philosophy of Ordinary Life
In today’s Korean society, the phrase “Aboha”—short for “Aju Botongui Haru” (a very ordinary day)—has become a cultural keyword. It reflects a growing desire to find happiness not in dramatic success or extraordinary events, but in calm, ordinary daily life. Interestingly, although this trend arose as a reaction to the fatigue of modern competition, it resonates deeply with the philosophy of the conservative thinker Michael Oakeshott.
Oakeshott once said, “Politics is not the art of building paradise, but the art of steering a ship already at sea.” He rejected the notion of life as a grand project or an ideological mission. Instead, he emphasized “the practice of living here and now,” valuing the meaning found in existing traditions, habits, and relationships. For Oakeshott, wisdom lay not in radical change but in “the intelligence of continuity”—the quiet confidence of living within inherited forms of life.
The Aboha mindset embodies a similar spirit. In a world obsessed with achieving “a better tomorrow,” we often exhaust the present. But Oakeshott reminds us that “to live is itself the voyage.” The value of life lies not in reaching a destination but in the act of sailing—the repeated, ordinary moments through which human dignity unfolds. This is not resignation, but rather an acceptance of our imperfection and a search for order and meaning within it.
Conservatism is often misunderstood as clinging to the past or resisting change. Yet, for Oakeshott, conservatism meant “respecting the experience of ordinary people.” What deserves our protection is not abstract ideology, but the continuity of relationships, manners, traditions, and small joys that shape our everyday lives.
If Aboha is to be more than a fleeting trend, we must rediscover its philosophical depth. As Oakeshott taught, life is not a means to an end but the voyage itself. When we learn to love our “very ordinary days,” we recover not only our humanity but also the moral stability upon which a civilized society dep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