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는 오랫동안 협상보다는 주장과 대립에 익숙한 문화를 보여왔습니다. ‘내가 옳다’는 확신은 내부적으로는 자신감을 줄 수 있으나, 외부 협상에서는 유연성을 잃게 하고 상대의 양보를 이끌어내기 어렵게 만듭니다. 협상이란 단순한 타협이 아니라 서로의 이해와 이익을 교차시켜 최적의 지점을 찾는 과정입니다. 특히 최근의 한미관세 협상과 같은 국제 통상 문제에서는 상대방의 동기와 제약을 정확히 이해하고 정보와 전략을 충분히 준비하는 태도가 필수적입니다.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실질적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단발성 거래가 아닌 장기적 신뢰와 관계 구축을 중시하는 협상 문화를 정착시켜야 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산업과 외교 전반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 토대가 될 것입니다.
Negotiation Culture Will Shape Korea’s Future
Korean society has long been more accustomed to asserting opinions and engaging in confrontation rather than negotiation. While a firm belief in being “right” may provide internal confidence, it often undermines flexibility and makes it harder to draw concessions from counterparts. Negotiation is not merely compromise but a process of aligning differing interests to find the optimal point. Especially in international trade issues such as the recent Korea–U.S. tariff negotiation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other party’s motivations and constraints while preparing sufficient information and strategy. For Korea to expand its real influence on the global stage, it must establish a negotiation culture that emphasizes long-term trust and relationship-building rather than one-off deals. Such a shift would provide the foundation for sustainable growth across industry and diplom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