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국은 스스로 지켜야 합니다

자국의 안보를 다른 나라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행위는 언젠가 돌이킬 수 없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전쟁이 발발하면 이미 늦기 때문입니다.

대한민국은 지정학적으로 항상 군사적 긴장 상태에 놓여 있습니다. 강대국들 사이에서 외교와 안보 정책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우리는 강대국들의 외교 정책에 민감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동시에 국민들이 나라에 대한 애착을 느낄 수 있도록 정부는 대내외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그러나 현재 대한민국 정치인들은 국민들에게 애착을 느끼게 할 지혜가 부족합니다. 오히려 지역, 세대, 자본 등의 기준으로 분열을 조장하며, 자신들의 가치관만이 옳다고 주장합니다.

공동체에 대한 애착은 시간이 필요한 자연스러운 감정입니다. 이제는 장기적이고 가치 추구적인 정책이 필요할 때입니다.

자국을 스스로 지키기 위해서는 공동체에 대한 애착이 필수입니다. 이 땅에서 계속 살아갈 후손들에게는 영토 뿐만 아니라 건강한 애국심 또한 전해 주어야 할 소중한 유산입니다.

A Nation Must Be Defended by Its Own Hands

Relying entirely on another country for national security may one day lead to irreversible risks, as it will be too late if war breaks out.

South Korea is in a constant state of military tension due to its strategic location. In this environment, foreign policy and security are crucial, and we must be responsive to the diplomatic strategies of major powers.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must implem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that foster a sense of attachment to the country among its citizens.

However, current South Korean politicians lack the wisdom to instill such attachment in the public. Instead, they encourage division based on region, generation, and economic status, asserting that only their values are correct.

Attachment to one’s community is a natural sentiment that develops over time. Now is the moment to pursue policies that are long-term and value-driven.

Without a deep-seated attachment to the community, defending the nation on its own is impossible. For future generations who will continue to live on this land, passing down a healthy patriotism along with the territory itself is an essential legacy.

국가간의 분쟁으로 인한 개인의 희생

아버지와 어머니 어린 동생을 데리고 일본에 건너왔다. 조선에는 먹고 사는 게 힘들었기 때문이다. 가족에 깊은 애착을 가진 아버지의 생사를 건 결단이었다. 나무가 없는 산을 바라보니 여기가 일본인지 조선인지 구분이 안 되었지만 광부로서 아버지는 가족들을 위해 어둠컴컴한 동굴에 매일 들어간다. 우린 행복했다. 매달 나오는 급료, 함께 고생하는 가족들이 조그만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는 그 순간이 조선에서는 꿈꿀 수 없었던 일이었기 때문에 더욱 실감했다. 그러던 어느 날 일본이 패전했다고 한다. 고국으로 돌아갈 수 없다고 한다. 우리 고향 함경북도 청진시에는 갈 수 없다고 한다. 시간이 조금 흘러 조선이 두 개의 나라로 나눠졌다고 한다. 일본은 영주권을 주는 대신 국적을 정하라고 한다. 한국인가? 북한인가? 

-위의 일화는 픽션입니다.

My father and mother brought my younger sibling and me to Japan. Life in Joseon was too difficult. It was a life-or-death decision by my father, who had a deep attachment to his family. Looking at the mountains without trees, it was hard to tell if this was Japan or Joseon, but as a miner, my father went into dark caves every day for his family. We were happy. The monthly salary and the moments of our small community struggling together were something we could never have dreamed of in Joseon, making it all the more real.
Then one day, they said Japan had lost the war. They said we couldn't go back to our homeland. They said we couldn't go back to our hometown of Chongjin City in North Hamgyong Province. A little time passed, and they said Joseon had been divided into two countries. Japan offered us permanent residency but told us to choose our nationality. South Korea? North Korea?

-The above story is a work of fiction.

재일 조선인의 삶은 국가권력에 의한 개인의 희생으로 덮인 인생이었습니다. 재일 조선인은 현재 어느 나라에 속하여 있는지 상관없이 당시의 국가 권력들 간의 희생자임에 틀림없습니다. 재일 조선인의 문제는 문명국가인 한국 정부가 일본에서 인간으로써 누려야할 자유를 보장 받을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