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혼자 남은 아빠, 떠난 가족-그리고 다시 찾아온 나의 시간

아내와 아들은 21일 저녁 6시, 하네다 공항에서 캐나다로 향하는 비행기를 탔습니다. 한 살 넘은 아이를 데리고 장시간 비행을 감행한 아내에게 먼저 깊은 존경을 보냅니다. 그리고 혼자 남은 저는, 외로움과 묘한 자유로움이 뒤섞인 이 시간을 어떻게...

아버지라는 이름의 깨달음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아보니 성경 말씀 중 유독 가슴 깊이 와닿는 단어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아버지’입니다. 아이를 갖기 전에는 무의식적으로 늘 ‘아들’의 입장에서 말씀을 이해했던 것 같습니다. ‘아버지’를 바라보는 위치였던 것이죠. 그런데 어느 날, 유튜브에서...

큰 정부를 지향하는 보수의 모순

오늘날 이른바 보수라 불리는 세력은 종종 ‘작은 정부’를 말하지만, 실제로는 ‘큰 정부’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이는 보수의 본질과는 명백히 어긋나는 행보입니다. 진정한 보수는 권력을 확대하여 사회를 통제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 권력을 절제함으로써 공동체의 자율적...

“싫어!” 속에 담긴 사랑의 신호

“이야 이야 이야 (일본어 번역: 싫어 싫어 싫어)“ 이제 아이가 한 살 반이 되었습니다. 누워서 젖병을 먹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밥도 잘 먹고 방안을 이리저리 뛰어다닙니다. 인간이 이렇게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존재인지 새삼 느끼게...

‘아보하’의 시대와 오크쇼트의 평범한 삶의 철학

요즘 한국 사회에서는 “아보하(아주 보통의 하루)”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화려한 성공이나 극적인 사건보다, 평범하고 잔잔한 하루 속에서 행복을 찾자는 의미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 담론이 현대의 피로한 경쟁 사회에 대한 반발로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보수주의 철학자 마이클...

[육아일기] 말귀는 좀 알아들어?

“언어란 무엇인가?”라고 묻는다면, 그 질문이 얼마나 큰 의미를 지니는지 실감하기 어렵습니다. 언어가 없는 세상을 우리는 상상조차 할 수 없으니까요. “언어의 한계가 곧 세계의 한계다.” 비트겐슈타인의 말처럼, 언어는 우리가 사물을 인식하고 세계를 이해하는 데 깊이 관여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칼럼] 사법부의 변혁, 그리고 시민사회의 과제

법은 문명사회의 최소한의 합의다 법률은 인간 사회가 유지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권리를 바탕으로 제정되며, 각 나라의 풍토와 관습을 반영합니다. 그런 이유로 사법부는 단순한 판결 기관을 넘어, 문명사회 또는 대한민국의 가치를 수호하는 지식인의 집단이자 권력 기관입니다. 최근 대법원의...

조용한 혁명: 하루 한 끼의 삶

요즘 저는 되도록 점심을 먹지 않으려 합니다. 누구보다 ‘밥심’이 강했던 저에게 찾아온 뜻밖의 결단입니다. 다이어트를 하려는 것도, 경제적으로 어려운 것도 아닙니다. 유학 시절, 100엔이 없어 어쩔 수 없이 굶었던 기억은 있지만, 이번엔 그때와는 다른...

Recent posts

Google search engine

Popular categ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