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혁명 이후 서구권 시민들의 인권은 크게 향상되어 봉건시대적 계층간의 구분은 표면적으로 점점 없어져 왔습니다. 뒤늦게 근대화를 이룬 한국에서도 서양의 시민사회의 정신을 수용하면서 조선시대의 사회 계층구조는 찾아 볼수 없게 되었습니다. 더나아가 민주주의 시대의 도래로 인해 시민의 힘은 어느 권력도 무시 못하게 되었죠.
하지만 인간에는 다양한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 존재이기 때문에 권력의 상하의 계층구분은 사라졌지만 사회적 위치의 다양함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즉 비합리적으로 점령한 사회적 위치는 소멸되었지만 개개인의 능력에 따른 사회적 지위는 유지되고 있습니다. 누군가는 시민사회를 이끄는 사람으로 누군가는 명령에 충성하는 자로 여러 모습들이 존재 하는 것이죠. 아주 자연스러운 공동체의 모습입니다.
최근 채상병 사건에 대응한 사단장의 녹취록에서 우리는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정신을 찾아 볼 수 없었습니다. 물에 빠진 채상병의 사고를 보고 받은 사단장의 발언은 머릿 속에 자신의 안위만 생각한것 같은 대답이었기 때문이죠. 한 사단을 거느르는 지휘자의 마음가짐에 가져야할 덕목이 결핍되어있었습니다. 자신의 부대에 대한 “애착”과 “충성”을 상실한채 지휘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번 사건으로 무능력으로 얻은 사회적 위치의 문제점이 여실이 드러났습니다. 지휘관으로써 가져야할 덕목을 가지지 않은채 어떻게 사단장이 될수 있었던가 라는 의문이 들 정도입니다. 우리 사회의 리더들은 어떤 덕목을 가져야 하는가를 재고를 해야할 시기가 왔습니다.
서구의 귀족들이 가졌던 “노블레스 오블리주”에서 찾아 볼수 있습니다. 또한 공자라 말한 “인애” 사상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리더들이 보이지 않지만 위기의 상황에서 발휘하는 가치관들을 소유한다면 시민들은 자연스럽게 자신의 권리와 권력을 일시적으로 양도할 거라고 믿습니다.
“After the French Revolution, the rights of Western citizens greatly improved, and the distinctions between feudal classes have gradually disappeared on the surface. In Korea, which achieved modernization later, the social hierarchy of the Joseon Dynasty has vanished as the spirit of Western civil society was adopted. Furthermore, with the advent of the democratic era, the power of the citizens has become something that no authority can ignore.
However, as humans are beings born with various abilities, while hierarchical divisions of power have disappeared, the diversity of social positions still exists. In other words, while irrationally occupied social positions have vanished, social status according to individual abilities remains. Some people lead civil society, while others serve loyally in various roles. This is a very natural aspect of a community.
In the recent case involving Corporal Chae, we saw a lack of the spirit of ‘noblesse oblige’ in the recording of the division commander’s response. The commander’s remarks upon receiving the report of Corporal Chae’s drowning seemed to reflect only concern for his own safety. He lacked the virtues that a leader of a division should possess, having lost ‘affection’ and ‘loyalty’ to his unit.
This incident starkly revealed the problem of obtaining social positions through incompetence. It raises the question of how someone who lacks the virtues necessary for a commander could become a division commander. It is time for us to reconsider the virtues that our society’s leaders should have.
We can find guidance in the ‘noblesse oblige’ of Western aristocrats and in Confucius’s idea of ‘benevolence.’ If leaders possess values that may not be visible but are demonstrated in times of crisis, citizens will naturally feel inclined to temporarily delegate their rights and p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