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6년 미국의 독립선언은, 정치·경제적으로 부당한 처우를 받아온 식민지가 영국으로부터 해방된 중대한 계기였습니다. 본국의 정치 실패와 억압적인 과세에 저항한 미국의 지식인들과 지도자들은 옳은 결단을 내렸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결단을, 영국 하원의원이자 보수주의의 아버지로 불리는 에드먼드 버크가...
결혼은 당사자뿐 아니라 그들과 연결된 공동체 모두에게 유익을 가져다주는 사건입니다. 그러나 오늘날 결혼에 대한 왜곡된 인식은, 인간의 욕망에 따른 잘못된 인지에서 비롯된 하나의 의견일 뿐입니다. 그렇기에 결혼하지 않겠다는 선택에 대해 개인이나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할...
– 에드먼드 버크의 공동체 철학에서 배우다
외국인 혐오는 흔히 진보 진영이 경계하고, 보수 진영은 때로는 침묵하거나 묵인한다고 여겨져 왔습니다. 그러나 에드먼드 버크의 전통에 충실한 보수주의는 외국인 혐오와 본질적으로 양립할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진정한 보수주의는 감정의 정치가 아니라 질서와 책임의...
‘친일’과 ‘보수’는 오랜 시간 도덕적 낙인으로 쓰여 왔다. 그러나 외교와 정치는 감정보다 국익에 기반해야 한다. 미국에는 일본을 깊이 이해하고 협력을 설계하는 전문가들이 많지만, 그들을 ‘친일파’라 부르지 않는다. 그들은 미국의 이익을 위해 일본을 연구하는 사람들이다....
우리는 지금, 우리의 정치가 도덕과 이성을 상실했다고 믿습니다. 자유는 책임을 거부하고, 정의는 유행을 따라가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시류 앞에서 침묵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창조주로부터 부여받은 권리에는, 인간은 자유롭고 공동체는 질서로 유지되며 정치는 책임으로 존재한다는...
보수주의는 유능한 이론가의 정치사상에서 비롯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인간 사회를 면밀히 관찰한 평범한 개인들이,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질서와 운명을 숙고한 끝에, 종교적 색채가 짙은 초월적 섭리(Providence)와 소명(Calling)에 응답하며 형성된 삶의 태도이자 철학입니다. 그렇기에 보수주의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