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를 떠나

인간에게 있어서 자연스러운 독립 중 하나는 부모로부터의 독립입니다.

그러므로 남자가 부모를 떠나 자기 아내와 합하여 두 사람이 한몸이 될 것이다. 창세기‬ ‭2‬:‭24‬ 

20대 중반부터 부모님과 떨어져 산 지도 벌써 10년이 되었습니다. 목적이 있었던 헤어짐이었기에 외로울 틈도 없었죠. 그리고 연락 수단이 많아졌기 때문에 평소의 안부는 종종 알 수 있어서 그렇게 떨어져 산다고 생각해본 적도 사실 없습니다. 그렇게 혼자 살던 생활에서 결혼을 해보니 ‘부모를 떠나’라는 문장을 다시 생각해보기 시작했습니다.

단순히 같이 안 사는 것을 ‘부모를 떠나’라는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조금씩 느끼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경제적 독립을 하는 것이 ‘부모를 떠나’는 인생의 과정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더욱 깊은 기쁨과 고독이 도사리는 광야에서 생활하는 느낌을 받습니다.

그러한 생활의 본질은 무엇일까요? ‘부모를 떠나’는 때를 살펴보면 결혼을 한 남녀가 부모로부터 떠나는 시기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결혼을 한 남자가 안전한 부모의 품을 떠나 한 가정의 가장으로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어 가는 생활을 뜻한다고 생각합니다.

결혼한 부부가 한몸이 됨으로 당연히 부모로부터 독립이 되어지는 거죠. 누군가를 사랑하고 결혼하는 자연스러운 인생의 과정을 아무도 간섭할 수 없습니다. 자신의 때와 ‘짝’을 찾기란 지금 같은 시대에는 너무 어렵지만 ‘자연’에 따른 인간 감정을 거스르는 것은 너무나 어리석은 일이라는 것을 알 것 같습니다.


It has already been 10 years since I started living apart from my parents in my mid-20s. Since it was a separation with a purpose, there was no time to feel lonely. Moreover, with the increased means of communication, I could frequently check on their well-being, so I never really thought about living apart from them. However, after getting married and living alone, I began to reconsider the phrase ‘leaving one’s parents.’

I have started to realize that simply not living together is not the true meaning of ‘leaving one’s parents.’ Furthermore, I realized that achieving economic independence is not the entirety of the process of ‘leaving one’s parents.’ It feels like living in a wilderness where deeper joy and solitude reside.

What is the essence of such a life? Looking at the time of ‘leaving one’s parents,’ it describes the period when a married couple leaves their parents. I think it means that a married man leaves the safe embrace of his parents to become the head of a new household and create a new community.

When a married couple becomes one, it naturally leads to independence from their parents. No one can interfere with the natural life process of loving someone and getting married. Although finding the right time and partner in today’s world is very difficult, I believe it is very foolish to go against human emotions that follow ‘nature.’

1+1=1 이라는 수학공식

1+1=1 이라는 수학공식

이론과 현실은 다르다는 사실은 종종 일상 속에서 발견합니다. 초등학교 때 배운 산수의 기본 중에 기본인 1+1=2 이라는 수학이론은 고유의 영역을 넘어선 세계에서는 진리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결혼 이라는 세계에서는 1인 분을 해온 개인과 개인이 만나서 1(하나)가 되는 사실을 경험하게 됩니다. 1이라고 생각 했던 자신들의 존재가 막상 나와 같은 세계를 소유한 타인을 만났을때 2가 안되는 현상에 대해 많이 당혹스럽고 스스로가 화가 날때도 있죠.

하지만 곰곰이 생각을 해보면 1이라는 숫자는 인간에게 편리상 표현한 기호에 불과하다는 점과 명확하지 않은 물질세계에서 계산 오류가 언제든 생길 수 있다는 점을 깨닫게 됩니다. 

현실세계에서의 공식은 수정과 보완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론과 현실을 구분하고 신중하게 현실을 살아가는 삶의 태도야 말로 이론적 공식을 현실에게 무사히 안착시킵니다.

1+1=1

현실에서는 새로운 공식이 필요합니다.

“We often discover in our daily lives that theory and reality differ. We learn that the mathematical theory 1+1=2, one of the most fundamental principles taught in elementary arithmetic, is not a universal truth when applied beyond its own domain.

In the realm of marriage, we experience how two individuals, who have lived their lives as separate entities, come together to become one. It can be quite bewildering and even frustrating when we realize that what we thought were two distinct entities do not simply add up to two when they meet another person with a world similar to their own.

However, upon reflection, we come to understand that the number 1 is merely a symbol of convenience created by humans, and that calculation errors can occur in the ambiguous material world.

Formulas in the real world seem to require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Distinguishing between theory and reality, and living our lives with careful consideration of reality, is what allows us to safely apply theoretical formulas to the real world.

1+1=1

In reality, a new formula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