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홉스 (Thomas Hobbes)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1588년-1679년)는 정치학 교과서에서 빠지지 않는 사회계약론자로, 특히 근대 정치철학에서 반드시 다루어야 할 중요한 철학자 중 한 명입니다. [리바이던(Leviathan)]이라는 저서를 통해 홉스는 기존 사회의 기반 사상이 선택하지 않았던 방식으로 인간 사회를 설명했습니다. 그의 사상은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사회에 대한 신뢰에 균열을 일으켰으며, 이후 근대 사상의 발전에 중요한 계기를 제공했습니다…Read More


수평파(Levellers)


광화문 앞에 모인 시민들의 시위, 3,000건이 넘는 국민 청원. 오늘날 대한민국이 당연하게 누리고 있는 민주주의 제도는 17~18세기 유럽의 격변 속에서 탄생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당시 수많은 정치 집단 중에서도 영국의 ‘수평파(Levellers)’는 오늘날 한국 정치에서 ‘민주’와 ‘정의’라는 구호로 표현되는 이념에 가장 부합하는 급진적 정치 사상을 주장한 집단이었습니다. ….Read More


제임스해링턴 (James Harrington)


오늘날 대한민국의 정치 양극화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이념적 대립은 대한민국을 분열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치 개혁을 해결책으로 내세우는 선동적 정치인과 지식인들은 겉으로는 옳은 말을 하는 듯하지만, 그들의 주장에는 어딘가 맞물리지 않는 위화감이 느껴집니다…Read More

Modern philoso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