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전의 역사철학과 조선왕조실록의 정신

-

조선의 건국은 단순한 왕조 교체가 아니라, ‘도덕질서의 복원’이라는 철학적 사건이었습니다. 그 중심에 서 있던 인물이 바로 정도전입니다. 그는 새 나라의 법과 제도를 설계했을 뿐 아니라, 《고려국사》를 편찬하여 조선이 어떤 역사를 이어가야 하는지를 선언했습니다.

정도전이 《고려국사》 서문에서 밝힌 목적은 명확합니다. “옛 나라의 득실을 기록하여 후세의 거울로 삼는다.” 그는 역사를 단순한 사실의 기록이 아니라, 정치의 도(道)를 비추는 거울로 보았습니다. 고려의 멸망은 군주가 도를 잃고, 권문세족과 불교가 나라를 어지럽힌 결과였다고 진단했습니다. 따라서 조선의 건국은 새로운 혁명이 아니라, 잃어버린 도덕질서의 회복이자 ‘정도의 부흥’이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역사관이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철학은 곧 《조선왕조실록》의 정신으로 이어집니다. 실록은 모든 왕의 언행을 사실 그대로 기록하여 후세의 거울로 삼고자 한 제도적 장치였습니다. 임금이 곁에 있어도 사관이 붓을 멈추지 않는다는 원칙은, 정도전이 말한 “도덕의 거울로서의 역사”를 실천한 것이었습니다. 조선의 역사는 단순히 왕조의 연대기가 아니라, 권력과 도덕, 제도와 인간의 관계를 끊임없이 성찰한 사상적 기록이었습니다.

정도전의 《고려국사》는 비록 완전한 형태로 전해지지 않지만, 그 서문에 담긴 정신은 500년의 실록 편찬 전통 속에 살아 있습니다. 그는 역사를 통해 정치의 도덕적 책임을 묻고, 나라가 지향해야 할 원리를 제시했습니다. 오늘 우리가 조선왕조실록을 다시 읽는다는 것은, 바로 그 질문 ― “도(道)를 잃지 않는 통치는 가능한가” ― 에 다시 답하려는 시도일 것입니다.

Jeong Do-jeon’s Philosophy of History and the Spirit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was not merely a dynastic replacement but a philosophical event—a restoration of moral order. At the center of this transformation stood Jeong Do-jeon. He not only designe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of the new state but also compiled the History of Goryeo(Goryeoguksa) to declare what kind of historical legacy Joseon should inherit.

In the preface to the History of Goryeo, Jeong Do-jeon clearly stated his purpose: “To record the gains and losses of the former dynasty and make them a mirror for later generations.” For him, history was not a mere record of events but a mirror reflecting the moral order of politics. He diagnosed the fall of Goryeo as the result of rulers losing the Way (do) and the corruption of the Buddhist establishment and aristocratic elites. Thus, the founding of Joseon was not a revolution to create something new but a restoration of moral order—a revival of the Way.

This philosophy of history directly shaped the spirit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Annalswere not written simply to record royal affairs, but to serve as a moral safeguard for governance. The principle that “even in the presence of the king, the scribe must write without hesitation” institutionalized Jeong Do-jeon’s idea of history as a moral mirror. Hence, the Annals are not a mere chronicle of kings, but an ongoing 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morality, and human responsibility.

Although Jeong Do-jeon’s History of Goryeo has not survived in its complete form, the spirit of its preface lived on for five centuries through the compilation of the Annals. Through history, Jeong sought to remind rulers of their moral responsibility and to articulate the principles that should guide a nation. To rerea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oday is to revisit that same question he posed over six hundred years ago: Is governance without the loss of the Way truly possible?

Share this article

Recent posts

Google search engine

Popular categori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