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크적 보수주의로 본 이재명 정부의 급진적 조직개편

-

최근 이재명 정부는 정부조직 전반에 걸친 대대적인 개편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검찰의 수사·기소 분리, 기획재정부의 예산기능 분리, 기후환경에너지부 신설, 성평등가족부 확대 등 행정부의 골격을 흔드는 개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정상화”라는 명분 아래 진행되고 있으나, 그 속도와 범위는 지나치게 급진적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버크적 보수주의는 변화를 부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변화의 속도보다 연속성과 안정성을 우선시합니다. 버크는 프랑스혁명의 급진적 개혁을 비판하며, “나쁜 것을 단숨에 바꾸려는 시도는 종종 좋은 것마저 파괴한다”고 말했습니다. 제도는 인간의 지혜와 경험이 누적된 산물이며, 이를 단기간에 해체하는 것은 사회적 신뢰를 무너뜨릴 위험이 있습니다.

검찰청의 해체와 공소청·중수청 신설, 예산 기능의 독립 등은 단순한 조직 조정이 아니라 국가 권력 구조 자체를 재편하는 일입니다. 권한 분산을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으나, 실제로는 새로 만들어질 기관들이 대통령실 혹은 여당의 영향권에 들어갈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합니다. 결과적으로 권력의 분산이 아닌 재집중으로 귀결될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개혁은 사회적 합의와 숙의 과정을 통해 서서히 진행되어야 합니다. 각 부처의 기능 조정, 인력 재배치, 법적 책임 구분 등은 충분한 검토 없이 추진될 경우 행정 공백과 혼란을 초래합니다. 변화가 필요하다는 사실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변화가 사회의 신뢰를 지키는 방식으로 진행되는가입니다.

에드먼드 버크는 “국가란 죽은 자와 산 자, 그리고 태어날 자들의 계약”이라고 했습니다. 지금의 개혁이 그 계약을 지키는 일인지, 아니면 파괴하는 일인지를 우리는 물어야 합니다. 급진적 개혁은 일시적인 쾌감을 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제도의 근본적 신뢰를 무너뜨립니다. 진정한 개혁은 전통 위에서 발전하는 것이지, 전통을 부정하는 데서 출발하지 않습니다.

Radical Reform and Burkean Conservatism: A View on the Lee Jae-myung Administration’s Structural Overhaul

The Lee Jae-myung administration is currently pursuing a sweeping reorganization of the government. From the separation of prosecutorial powers to the division of fiscal authority within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nd even the creation of a new Ministry of Climate, Environment, and Energy, these reforms are reshaping the very framework of state administration. While these measures are being promoted under the banner of “normalization,” their speed and scope reveal a distinctly radical nature.

Burkean conservatism does not reject change. Yet it places continuity and stability above haste and disruption. Edmund Burke, in his critique of the French Revolution, warned that “to tear down what is bad too quickly often destroys what is good as well.” Institutions are not mere bureaucratic machinery; they are the accumulated wisdom of a people’s history. To dismantle them abruptly is to risk eroding the social trust upon which governance depends.

The dismantling of the Prosecutor’s Office, the establishment of new Prosecution and Investigation Bureaus, and the reorganization of fiscal authorities are not simple administrative adjustments—they amount to a reconfiguration of national power itself. Although the government justifies these moves as efforts toward decentralization, there is a growing concern that newly created bodies could fall under the stronger influence of the presidential office or the ruling party. Thus, reform intended to distribute power may paradoxically lead to its concentration.

True reform must proceed through social consensus and deliberation. Without sufficient consultation and institutional coordination, restructuring can result in confusion, administrative vacuums, and weakened public confidence. The real question is not whether reform is necessary, but whether it preserves the trust and continuity of the nation’s institutions.

Edmund Burke once said, “A nation is a partnership between those who are living, those who are dead, and those who are to be born.” We must ask whether the current reforms honor that partnership or destroy it. Radical reform may offer a momentary sense of righteousness, but it often undermines the very foundations of institutional trust. Genuine reform does not begin with the denial of tradition—it builds upon it.

Share this article

Recent posts

Google search engine

Popular categori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