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tics

무너진 것을 다시 세울 때는 다양한 사람들의 재능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흔히 고귀하고 숭고한 뜻만 세우면 세상이 변할 것이라 착각합니다. 불합리한 세상이 존재하는 이유는 그러한 뜻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죠. 그래서 역사 속 고귀한 인물을 조명하며, 그의 사상과 업적을 통해 숭고한 정신을 되살리려 합니다. 하지만 숭고한...

창당 선언문

우리는 지금, 우리의 정치가 도덕과 이성을 상실했다고 믿습니다. 자유는 책임을 거부하고, 정의는 유행을 따라가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시류 앞에서 침묵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창조주로부터 부여받은 권리에는, 인간은 자유롭고 공동체는 질서로 유지되며 정치는 책임으로 존재한다는...

6.25전쟁 75주년

지난 글에서는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돌아보며, 향후 한일 관계의 방향에 대해 고찰했습니다. 우리는 존 듀이의 역사 교육의 의의와 한나 아렌트의 ‘집단적 죄’ 개념을 인용하며, “과거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그 안에서 우리가 누구이며 어디로...

한일관계의 건강한 미래를 위한 철학적·역사적 성찰

왜 역사를 배우는가: 존 듀이의 교육 철학에서 미국의 철학자 존 듀이는 “역사는 과거에 대한 죽은 지식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인간의 사고와 행위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는 살아 있는 경험”이라 말했습니다. 그는 역사교육이 단순한 암기나 기념이 아니라, 현재의...

숙의 없는 인기 경쟁, 일본 참의원 선거의 민낯

일본은 의원내각제를 채택한 나라입니다. 입법부는 중의원과 참의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원은 각각의 역할을 통해 일본 사회의 정치적 균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의원의 다수당 대표는 간접선거를 통해 총리로 선출되며, 내각을 구성하여 행정부를 이끄는 수장이 됩니다. 반면,...

정당은 공익을 실현하는 정치 공동체여야 한다

정당은 정치 집단 중 하나로, 공익을 추구하는 조직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공익이란 동일한 시간과 공간을 공유하는 시민들의 실질적인 이익을 뜻합니다. 실체 없는 반정치적 구호나 모호한 이상만을 내세우는 집단은 정당이라 부를 수 없습니다. 한국의 정당 정치는 한...

한국 보수주의, 초월적 섭리와 소명의 정치

보수주의는 유능한 이론가의 정치사상에서 비롯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인간 사회를 면밀히 관찰한 평범한 개인들이,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질서와 운명을 숙고한 끝에, 종교적 색채가 짙은 초월적 섭리(Providence)와 소명(Calling)에 응답하며 형성된 삶의 태도이자 철학입니다. 그렇기에 보수주의에는...

[입법안] 사회경제 변화에 맞춘 연금제도 기능성 강화를 위한 국민연금법 등 일부개정 법률안

미래 세대를 위한 연금 개혁, 그러나 책임은 누구의 몫인가 일본 후생노동성에서 제출한 연금 개정안이 217회 통상국회에서 통과될 예정입니다. 자민당, 공명당, 입헌민주당(제1야당)의 합의를 통해 추진된 이 법안은, 젊은 세대의 인구가 줄어들고 고령자가 늘어나는 일본 사회의 구조적...

Recent posts

Google search engine

Popular categ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