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tics

큰 정부를 지향하는 보수의 모순

오늘날 이른바 보수라 불리는 세력은 종종 ‘작은 정부’를 말하지만, 실제로는 ‘큰 정부’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이는 보수의 본질과는 명백히 어긋나는 행보입니다. 진정한 보수는 권력을 확대하여 사회를 통제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 권력을 절제함으로써 공동체의 자율적...

정치적 이상향의 유혹과 권력의 남용: 이진숙 장관 체포를 바라보며

최근 이루어진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의 체포는 단순한 법 집행을 넘어, 정치적 맥락에서 깊은 의문을 낳습니다. 공직선거법과 국가공무원법 위반 혐의라는 명분이 있으나, 이미 공개된 발언과 행적에 근거한 사건에서 체포의 필요성과 정당성은 충분히 설명되지 않습니다. 불구속...

찰리커크, 그는 보수주의자인가?

찰리 커크는 오늘날 미국 젊은 세대를 대표하는 보수 활동가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스스로를 보수주의자라고 칭하고 있으며, 주요 언론 역시 그를 “conservative activist”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과 공화당 진영은 커크를 “MAGA 운동의 젊은...

인구론: 대한민국에 필요한 국민수는 얼마인가?

대한민국을 유지하고 번성시키기 위해서는 과연 몇 명의 국민이 필요할까요? 현실은 심각합니다. 대한민국의 인구는 매년 줄어들고 있으며, 그 감소 속도는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매우 가파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2022년 5,200만 명이던 대한민국 인구는 2070년 3,800만 명으로 감소할...

정부는 누구의 대리인이 아닌, 사회 전체의 조율자

정부는 단순히 한 집단의 대변인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질서를 유지하는 조율자입니다. 노란봉투법이 보여주듯, 노동자의 권리를 강화하는 것은 사회의 불균형을 바로잡는 분명한 효과를 지닌 일입니다. 그러나 정부가 노동자의 입장만을 대변한다면, 이는 곧 정부가 특정 이해...

미국 독립의 정신의 후원자

1776년 미국의 독립선언은, 정치·경제적으로 부당한 처우를 받아온 식민지가 영국으로부터 해방된 중대한 계기였습니다. 본국의 정치 실패와 억압적인 과세에 저항한 미국의 지식인들과 지도자들은 옳은 결단을 내렸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결단을, 영국 하원의원이자 보수주의의 아버지로 불리는 에드먼드 버크가...

무너진 것을 다시 세울 때는 다양한 사람들의 재능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흔히 고귀하고 숭고한 뜻만 세우면 세상이 변할 것이라 착각합니다. 불합리한 세상이 존재하는 이유는 그러한 뜻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죠. 그래서 역사 속 고귀한 인물을 조명하며, 그의 사상과 업적을 통해 숭고한 정신을 되살리려 합니다. 하지만 숭고한...

창당 선언문

우리는 지금, 우리의 정치가 도덕과 이성을 상실했다고 믿습니다. 자유는 책임을 거부하고, 정의는 유행을 따라가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시류 앞에서 침묵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창조주로부터 부여받은 권리에는, 인간은 자유롭고 공동체는 질서로 유지되며 정치는 책임으로 존재한다는...

Recent posts

Google search engine

Popular categ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