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남은 아빠, 떠난 가족-그리고 다시 찾아온 나의 시간

아내와 아들은 21일 저녁 6시, 하네다 공항에서 캐나다로 향하는 비행기를 탔습니다. 한 살 넘은 아이를 데리고 장시간 비행을 감행한 아내에게 먼저 깊은 존경을 보냅니다. 그리고 혼자 남은 저는, 외로움과 묘한 자유로움이 뒤섞인 이 시간을 어떻게...

아버지라는 이름의 깨달음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아보니 성경 말씀 중 유독 가슴 깊이 와닿는 단어가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아버지’입니다. 아이를 갖기 전에는 무의식적으로 늘 ‘아들’의 입장에서 말씀을 이해했던 것 같습니다. ‘아버지’를 바라보는 위치였던 것이죠. 그런데 어느 날, 유튜브에서...

열심히 살지 않는 사람을 볼 때 — 기독교적 보수주의에 대한 작은 성찰

가끔 저는 열심히 살지 않는 사람을 보면 답답한 마음이 듭니다. 그 마음의 밑바닥에는 아마 ‘효율적으로 사는 것이 옳다’는 생각이 깔려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그런 기준 역시 근대적 사고의 산물입니다.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싫어!” 속에 담긴 사랑의 신호

“이야 이야 이야 (일본어 번역: 싫어 싫어 싫어)“ 이제 아이가 한 살 반이 되었습니다. 누워서 젖병을 먹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밥도 잘 먹고 방안을 이리저리 뛰어다닙니다. 인간이 이렇게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존재인지 새삼 느끼게...

‘아보하’의 시대와 오크쇼트의 평범한 삶의 철학

요즘 한국 사회에서는 “아보하(아주 보통의 하루)”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화려한 성공이나 극적인 사건보다, 평범하고 잔잔한 하루 속에서 행복을 찾자는 의미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 담론이 현대의 피로한 경쟁 사회에 대한 반발로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보수주의 철학자 마이클...

[육아일기] 말귀는 좀 알아들어?

“언어란 무엇인가?”라고 묻는다면, 그 질문이 얼마나 큰 의미를 지니는지 실감하기 어렵습니다. 언어가 없는 세상을 우리는 상상조차 할 수 없으니까요. “언어의 한계가 곧 세계의 한계다.” 비트겐슈타인의 말처럼, 언어는 우리가 사물을 인식하고 세계를 이해하는 데 깊이 관여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버크적 보수주의로 본 이재명 정부의 급진적 조직개편

최근 이재명 정부는 정부조직 전반에 걸친 대대적인 개편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검찰의 수사·기소 분리, 기획재정부의 예산기능 분리, 기후환경에너지부 신설, 성평등가족부 확대 등 행정부의 골격을 흔드는 개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정상화”라는 명분 아래 진행되고 있으나,...

인간은 사회적 동물

책 정보: 학교와사회, 존 듀이 저 / 미야하라 세이이치 역, 2024, 이와나미 문고 인상 깊은 구절:“문제는 전체로서의 교육을 일상생활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그 다양한 요소들을 하나로 결합시키고, 교육을 통합적이고 조직적으로 만드는 데 있다.” 내 생각:존 듀이는 학교와...

Recent posts

Google search engine

Popular categ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