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저는 열심히 살지 않는 사람을 보면 답답한 마음이 듭니다. 그 마음의 밑바닥에는 아마 ‘효율적으로 사는 것이 옳다’는 생각이 깔려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그런 기준 역시 근대적 사고의 산물입니다.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사람의 가치를 속도와 성과로 재기 시작했습니다.
기독교적 보수주의의 시선에서 보면, 인간의 가치는 그런 척도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사람은 일의 결과가 아니라,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다는 사실에서 존귀함이 시작됩니다. 물론 신앙인은 자신의 삶을 성실히 살아야 합니다. 그러나 그 성실함은 누군가에게 인정받기 위한 경쟁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맡은 일을 감당하려는 내적인 응답입니다.
그래서 이제는 열심히 살지 않는 사람을 보더라도 쉽게 판단하려 하지 않습니다. 그 사람의 느린 걸음 속에도 하나님이 이끄시는 어떤 시간이 있을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기독교적 보수주의는 바로 그 ‘불완전한 인간’을 품는 질서와 인내의 세계관이라 생각합니다. 그런 믿음 속에서 저 역시 조금 더 느리게, 그러나 진실하게 살아가고 싶습니다.
When I See Someone Who Doesn’t Live Diligently — A Small Reflection from Christian Conservatism
Sometimes I feel frustrated when I see someone who doesn’t seem to live diligently. Perhaps beneath that feeling lies the belief that living efficiently is the right way. But when I think about it more deeply, I realize that this idea itself comes from modern thought —a way of measuring human worth by speed and productivity.
From a Christian conservative perspective, human value is not determined by such measures. Our dignity begins with the truth that we a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not with what we achieve. Of course, a believer should live faithfully. Yet such faithfulness is not a competition for recognition, but a quiet response to the calling given by God.
So now, when I meet someone who lives more slowly, I try not to judge too quickly. Even in that unhurried pace, there may be a time that God is shaping in His own way. I believe Christian conservatism is a worldview that embraces this imperfect humanity with order and patience. And within that faith, I too wish to live more slowly—but truthfu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