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것이든 미니멀한 비즈니스를 구축하려면, 결국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들과 자신이 즐기는 방식으로 시간을 보내는 것에서 출발해야 합니다.”(사힐 라빈지아, 『미니멀리스트 창업가』, 박재영 옮김, 캐피탈엣지랩스, 2025)
사업에 대한 의견은 사람마다 다양하며, 각자 나름의 동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어떤 사업을 하고 싶은가?”
이 질문을 저는 몇 년 전부터 스스로에게 던져왔습니다.
처음 사업을 생각했을 때 저는 ‘경제적 자유’를 꿈꾸었습니다. 돈이 있으면 제가 원하는 물건과 시간을 마음껏 누릴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사업 아이템을 고민할 때도 ‘돈’만을 우선적으로 떠올렸습니다. 그러나 그럴수록 제가 진정 원하던 삶에서 점점 멀어졌으며, 결국 ‘돈’이 원하는 선택에 이끌려다니게 되었습니다.
‘돈’만을 생각하는 사업은 저와 맞지 않았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제 행동의 순서가 뒤바뀌면서 일이 잘 풀리지 않았고 자신감도 떨어졌습니다. 친구들에게 사업을 한다고 말하면서도 정작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했습니다. 더구나 저는 내성적인 성향이 강해 하나를 결정하는 데에도 오랜 시간이 걸렸으며,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쉽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주변의 사업가들이 실제로 일하는 방식과 사고방식이 저와 달랐기에, 저는 그들을 보면서도 이상하게 여기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저는 제 고유한 성향을 인정하게 되었습니다. 자연스러운 저 자신으로 사업에서 승부를 보고 싶다는 마음이 커졌습니다. 그러던 중 위에서 인용한 책을 만나게 되었고, 그 안에서 제시하는 사업의 동기가 제 생각과 닮아 있음을 느꼈습니다.
첫째, “돈”은 사업의 원동력이 아니라 커뮤니티 속 필요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생겨나는 ‘사회적 결과물’이라는 점입니다. 저는 저 자신을 위한 것보다 누군가를 위해 더 적극적으로 행동할 때 비로소 동기가 생긴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저는 스스로가 더 깊이 사고하는 사람이라는 사실도 알게 되었습니다. 저에게 맞는 사업 아이템을 찾기보다는, 누군가의 문제를 해결하고 그 방법이 보편적인 해결책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통해 수익을 내는 일을 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저자가 강조하듯, “창업가”가 되기 전에 먼저 “창작자”가 되어야 한다는 말이 마음에 와 닿았습니다.
아직 구체적인 창작물은 없지만, 제가 속한 커뮤니티 속으로 더 깊이 들어가 사람들의 필요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데 집중하고 싶습니다. 그것을 제 작은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이런 사업들이 점차 늘어난다면, 사회가 조금 더 아름다워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I am a creator.
“To build any kind of minimalist business, you ultimately have to start by spending time with people you like, in ways you enjoy.” (Sahil Lavingia, The Minimalist Entrepreneur, trans. Jae-Young Park, Capital Edge Labs, 2025)
Opinions about business vary widely, and everyone has their own motivations.
“What kind of business do I really want to do?”
This is a question I have been asking myself for several years.
When I first thought about starting a business, I dreamed of “financial freedom.” I believed that having money would allow me to buy the things I wanted and spend time as I pleased. So whenever I brainstormed business ideas, my first thought was always “money.” But the more I focused on money, the further I drifted from the life I truly wanted, and eventually I found myself being led by what “money” wanted instead of by my own desires.
A business built only around “money” didn’t suit me. More precisely, the order of my actions was reversed: things didn’t move forward smoothly, I lost confidence, and even though I told friends I was starting a business, I barely took a single step forward. On top of that, my introverted nature made it difficult to make decisions and take action quickly. Many people around me who were running businesses thought and acted differently from me, but at the time, I didn’t question that.
Over time, however, I began to acknowledge my own unique tendencies. I wanted to compete in business by being my natural self. Then I came across the book quoted above, and its view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 resonated deeply with me.
First, it argues that “money” is not the driving force of business but rather a kind of “social outcome” that arises naturally from solving needs within a community. I discovered that I am more motivated when acting for someone else than for myself. I also realized that I am someone who tends to think deeply. Instead of searching for a business that suits me, I want to solve people’s problems and,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ose solutions into universal tools, generate income.
As the author says, before becoming an “entrepreneur,” we should first become “creators.” That message struck a chord with me.
Although I haven’t yet produced anything concrete, my small goal is to engage more deeply with the community I belong to—listening, reflecting, and finding ways to address people’s needs. If such businesses grow in number, wouldn’t society become a little more beauti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