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크의 프랑스 혁명 비판과 종교 정신

우리 주변에서 이성을 넘어서는 문제에 부딪히면 초월자를 찾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신의 존재를 부정하던 사람조차도 현실의 거대한 공포 앞에서는 겸손해지죠. 인간 사회의 오랜 근간을 이루어온 종교는 어느 사회에서나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해왔습니다.

종교는 사람들 사이에서 질서를 유지하고, 개인과 공동체의 행동 범위를 규정해왔습니다. 삶의 목표, 결혼관, 직업관, 인간관계, 관습 등은 종교와 깊은 관련 속에서 이루어져 왔죠. 근대 국가가 형성되기 전에는 법보다도 우선시된 경우도 있었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인간 사회의 틀을 형성한 종교는 사회적 형식을 유지시키는 동시에, 개인에게는 더 본질적인 의미를 지닙니다.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사람들과 어떤 마음으로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 등 인간 내면의 형식을 만들어갑니다.

하지만 프랑스 혁명에서 일어난 일련의 사건들은 자비와 온유함이 결여된 참혹한 행위들이었습니다. 버크는 숭고한 이상을 내세운 혁명 세력들이 저지른 행위들을 비난합니다. 당시 프랑스는 기독교의 영향이 강했고, 성당은 지역 공동체를 지탱하는 중요한 기관 중 하나였습니다.

그러나 성당의 부패를 보고 불만을 품은 평민들은 종교 자체를 부정하는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종교가 가져온 유익을 망각한 채 말이죠. 기독교의 정신 중 하나인 사랑이 사라지고, 오직 기독교 자체를 부정하는 사건들이 일어나게 됩니다.

버크는 프랑스 혁명 세력을 ‘신중하지 못한 결정’이라고 비판합니다. 종교와 종교의 부패는 다른 관점에서 고려해야 하며, 종교인과 종교 기관의 부패는 사회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주장했습니다.

버크는 프랑스 혁명 세력의 청년에게 이렇게 답장을 씁니다*.

“당신들은 기사도 정신과 종교의 정신을 버렸습니다.”

*프랑스 혁명을 지지한 청년은 버크가 미국 독립 혁명을 지지했기에 프랑스 혁명 또한 지지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편지를 보냈습니다.

The Spirit of Religion

We often witness people turning to a transcendent being when faced with problems beyond reason. Even those who once denied the existence of God find themselves humbled in the face of immense fear. Religion, which has long been a foundation of human society, has exerted profound influence across all societies.

Religion has maintained order among people and set norms for the behavior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Life’s goals, views on marriage, career, human relationships, and customs have all been closely intertwined with religion. In fact, before the rise of modern states, religion was often prioritized over law.

For a long time, religion shaped the framework of human society, maintaining social order while offering individuals deeper, more essential meanings. It provides a structure for how we should live and how we should interact with others, shaping our inner lives.

However, the events of the French Revolution were a series of cruel acts devoid of mercy and gentleness. Burke condemned the revolutionaries, who, despite their lofty ideals, committed atrocious deeds. France, strongly influenced by Christianity, had churches that served as pillars of local communities.

Yet, the peasants, dissatisfied with the corruption within the Church, made the mistake of rejecting religion itself, forgetting the historical role religion played in sustaining their communities. As love, one of the central tenets of Christianity, disappeared, events began to unfold that denounced not just the Church but Christianity itself.

Burke criticized the French revolutionaries, calling their actions ‘imprudent decisions.’ He argued that religious corruption should be considere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nd that the corruption of religious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should be addressed through improvements in the social system.

Burke wrote the following in a letter to a young revolutionary in France:

“You have forsaken the spirit of chivalry and the spirit of religion.”

버크의 프랑스 혁명 비판과 기사도 정신

말을 탄 기사는 전장의 선봉에 섭니다. 기사는 맞은편에 있는 적군을 바라보며 곧 있을 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해 생각합니다. 그의 뒤에는 수천 명의 병사들이 정렬해 기사의 말과 행동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때가 되면, 기사는 병사들의 사기를 끌어올리고 가장 앞에서 적군을 향해 돌진합니다.

봉건 시대의 기사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자신에게 주어진 전투에 임했습니다. 물론 그중에는 자신의 안전을 우선시하는 비겁자들도 있었지만, 대체로 “기사” 하면 “대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사람이라는 이미지가 떠오릅니다. 이 때문에 기사도 정신은 숭고한 정신으로 인정받아 왔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며 왕과 기사들은 타락하기 시작했습니다. 전쟁에서 가장 앞서 병사들을 이끌어야 할 기사들이 어느 순간 가장 뒤에 서서 병사들의 희생으로 자신을 유지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 것입니다. 숭고한 정신이 사라진 기사들의 모습에 사람들은 더 이상 존경과 애정을 느끼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어느 정도 합리적이었던 계급 질서는 그 정신이 약해짐에 따라 부패를 양산하는 사회 시스템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리고 일반 국민들 사이에서도 “자연적 계시”를 받은 진정한 기사들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사회를 개혁해 나가기 시작했죠.

그러나 사회 발전의 자연스러운 역사 속에서 프랑스 혁명은 섣부른 판단이 불러온 정치적 참사였습니다. 과거의 모든 기존 제도를 신중한 고려 없이 부정하는 태도는 오히려 더 큰 악을 초래했습니다. 프랑스 혁명은 결국 수많은 사람들의 학살과 독재정치로 끝이 났습니다.

인간 사회라면 어느 사회도 예외 없이 숭고했던 정신과 사회 시스템이 타락하게 됩니다. 문제는 숭고했던 정신과 시스템 자체가 아니라 타락한 현상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지금까지 사회를 발전시키고 지탱해 온 정신과 시스템을 돌아보고, 그것을 개혁해 나가야 합니다. 이상적이고 새로운 정신과 시스템을 무리하게 도입하는 것은 많은 희생을 초래할 뿐입니다.

버크는 도버 해협 너머 프랑스에서 벌어지는 일을 면밀히 관찰했습니다. 그리고 예전에 방문했던 프랑스 사회를 회상하며 현재 벌어지는 혁명의 사건들을 바라보았습니다. 그는 혁명 세력이 추구하는 대의를 이해하면서도 그들이 내린 정치적 판단에 대해 “신중하지 못한 결정”이라며 비난했습니다. 한편, 혁명 세력 중 한 명이 버크에게 자신들의 대의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편지를 보냈습니다*. 버크는 그 청년에게 답장을 씁니다.

“당신들은 기사도 정신과 종교의 정신을 버렸습니다.”

*프랑스 혁명을 지지한 청년은 버크가 미국 독립 혁명을 지지했기에 프랑스 혁명 또한 지지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편지를 보냈습니다.

Burke’s Critique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Spirit of Chivalry

A knight mounted on a horse stands at the forefront of the battlefield. The knight gazes at the enemy in front of him, focusing all his thoughts on winning the upcoming battle. Behind him, thousands of soldiers are lined up,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knight’s words and actions. When the time comes, the knight rallies the troops, raises their morale, and charges ahead toward the enemy.

In the feudal era, knights risked their lives to fight in the battles assigned to them. Of course, some were cowards who prioritized their own safety, but the common image of a “knight” was someone who sacrificed themselves for a “greater cause.” For this reason, the spirit of chivalry has been revered as a noble virtue throughout history.

However, as time passed, both kings and knights began to succumb to corruption. Knights, who were supposed to lead their soldiers at the front lines, were now staying behind, relying on the sacrifice of their troops for survival. With the absence of noble spirit, the respect and admiration once felt for knights began to fade.

The class system, which initially operated with some degree of rationality, gradually weakened in spirit and became a corrupt social structure. At the same time, among ordinary people, “true knights,” guided by a “natural revelation,” began to emerge. These individuals started to reform society in their own way.

Yet, within the natural course of history’s progression, the French Revolution was a political disaster born from hasty judgments. The wholesale rejection of all past institutions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brought about even greater evils. The French Revolution ultimately ended with the massacre of many and the rise of dictatorial rule.

In human societies, the noble spirits and systems that once sustained them inevitably fall into decay. The problem does not lie in the original ideals or the system itself, but in the corruption that follows. Therefore, we must reflect on the spirit and systems that have nurtured and advanced our societies, and work to reform them. Forcing the adoption of idealistic and novel systems only leads to unnecessary sacrifices.

Burke closely observed what was unfolding in France across the English Channel. Reflecting on the French society he had once visited, he scrutinized the events of the revolution. While he understood the revolutionary cause, he criticized their political judgments as “reckless decisions.” One member of the revolutionary movement even sent Burke a letter seeking his endorsement of their cause*. Burke responded to the young man:

“You have abandoned the spirit of chivalry and the spirit of religion.”

*The young supporter of the French Revolution assumed that Burke, having supported the American Revolution, would also support the French Revolution, and thus wrote him a letter.

[1장]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읽어보자 

기존의 상식을 깨우치는 버크의 방법은 간단했습니다. 많은 지식을 습득하기 전에 우리의 사고(思考)의 전환을 요구합니다.

  1. “그 문제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요소들을 구별하여 하나씩 자세히 조사”(47)
  2. “비교”(48)
  3. “가정이 아니라 실험에 근거한 이론”(49)

버크는 [숭고와 미]의 서론에서 자신의 논거 방법을 설명합니다. 추상적이고 형이상적인 이론에 근거하지 않고, 18세기 영국의 철학자 존 로크의 경험론적 방법을 따라 구체적 일상에서의 관찰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펼쳐 나갑니다. 즉, 경험론적 관찰을 통해 인간을 고찰합니다.

그는 인간이 가진 능력을 세 가지로 열거합니다. “감각 능력”, “상상력”, “판단력”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능력이라는 전제 위에 인간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감각 기관]

“모든 인간들에게 감각 기관의 구조는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54)

우리는 오감을 통해 외부의 사물들을 인식합니다. 어떠한 사람에게도 감각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혹시나 인간의 감각 기관을 부정한다면 우리는 서로가 느끼는 감각적 느낌에 관해서는 대화가 통하지 않을 겁니다. 미각(Taste)에 관한 예를 들자면, “식초가 신 맛이 나고 꿀은 달콤하며…” 이러한 감각에 서로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어떠한 대화도 계속될 수 없을 것입니다.

[상상력]

“감각 기관을 통하여 사물들을 받아들이는 방식과 순서대로 그것들의 이미지를 떠올리거나 이 이미지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원래와는 다른 순서에 따라 자기 마음대로 결합하는 일종의 창조적 능력”(59)

“상상력은 공포와 희망, 그리고 그것들과 결부된 모든 감정들이 나타나는 영역이기에 기쁨과 고통이 나타나는 가장 광범위한 영역이다”(59)

감각 기관을 통한 외부 자극은 우리들에게 인상을 남기며 관념을 만들어 내면에서 쾌감/불쾌감을 느끼게 합니다. 감정에도 감각 기관과 동일하게 사람들 사이에서 일치하는 면이 있다고 말합니다. 왜냐하면 버크가 관찰하기에는 상상력은 “감각 기관의 대변자”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경험 속에서의 감각 기관의 지식의 축적은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만족감을 주며 서로에게 공감을 느끼게 합니다.

[판단력]

“감성적 능력을 뜻하거나, 상상력의 산물들이나 고상한 예술 작품들에 대해 판단하는 정신적 능력”(54)

버크는 감각 기관과 상상력의 결과로 우리는 감성적인 판단 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 말합니다. 훌륭한 예술 작품을 탁월하다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 그것이 좋은 판단력인 동시에 “좋은 취미”를 가진 사람입니다.

버크는 많은 사람들의 모습 속에서 공통적으로 위의 세 가지 능력들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 능력들은 따로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관찰합니다. 이러한 논거는 형이상적인 개념을 가정한 것이 아니라 버크가 보고 듣고 느낀 경험적 사실들을 비교하고 유사한 사실에서 일반 원리를 추론해 나갑니다. 동시에 자신이 추론한 원리를 인간 사회에서도 적용되는지 끊임없이 비교하며 논거하고 있죠. 이러한 버크의 연구자에 대한 태도는 [숭고와 미]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보여집니다.

특히 위의 인간의 세 가지 능력은 [취미론]이라는 당시 영국에서 유행했던 철학적 주제였습니다. 버크에게 있어 취미론은 감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간들의 태도나 성격, 행위나 의도, 인간들 사이의 관계, 가치와 악덕”과 같은 판단 능력을 향상시키는 어떠한 근본 원리를 발견하기 위한 시도였습니다. 그는 경험의 확장과 그에 따른 지식의 확장이 단순한 지식의 양만 커지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인간의 삶에 깊숙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 대해 경험적으로 깨달았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버크는 자신의 취미에 대한 의견을 [숭고와 미] 2판 서론에 덧붙였던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숭고와 미]의 내용을 살펴보기 전에 서론을 보면서 버크가 [숭고와 미]를 출판하게 된 의도를 조금은 파악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은 이성보다는 감정의 영향을 더 받으며 감정에 대한 고찰은 인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감정에 관한 보편적 원리는 개인의 판단 능력의 향상과 인간 사회를 발전시키는 초석이 된다는 믿음이 보여집니다. 단순한 미학의 이론서를 저술하기보다는 당시 개인들의 판단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적 활동의 일종이었습니다.

Burke’s Method of Enlightening Common Sense

Before acquiring a lot of knowledge, Burke required a shift in our thinking.

  1. “Distinguishing and examining each of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problem in detail” (47)
  2. “Comparison” (48)
  3. “A theory based on experiments, not assumptions” (49)

In the introduction to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Burke explains his method of argumentation. Rather than relying on abstract and metaphysical theories, he follows the empirical method of the 18th-century British philosopher John Locke, using observations from concrete everyday life to support his claims. In other words, he examines humanity through empirical observation.

He lists three abilities that humans possess: “sense perception,” “imagination,” and “judgment.” He explains humanity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se abilities are inherent to everyone.

[Sense Organs]

“Since the structure of sense organs is almost identical in all humans…” (54)

We perceive external objects through our five senses. We can see that everyone possesses the ability to sense. If we deny the sense organs of humans, we would be unable to communicate about sensory feelings. For example, regarding taste, if we did not agree that “vinegar is sour and honey is sweet,” we would not be able to continue any conversation.

[Imagination]

“A creative ability to recall images of things in the way and order they were received through the senses, or to combine these images in a new way and in a different order as one wishes” (59) “Imagination is the domain where fear and hope, and all emotions associated with them, manifest; it is the most extensive domain where joy and pain appear” (59)

Stimuli from the sense organs leave an impression on us and create notions that make us feel pleasure or discomfort internally. Burke states that emotions, like the sense organs, have aspects that are consistent among people. This is because, as Burke observes, imagination is merely “the spokesperson for the sense organs.”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from the sense organs through many experiences provides people with pleasure and satisfaction, leading to mutual empathy.

[Judgment]

“Aesthetic capacity, or the mental ability to judge the products of imagination or fine art” (54)

Burke states that as a result of the sense organs and imagination, we can develop aesthetic judgment. The ability to evaluate an excellent work of art as outstanding, that is good judgment and at the same time being a person of “good taste.”

Burke observes that many people commonly possess the above three abilities and that these abilities are not separate but closely interconnected. This argument is not based on metaphysical concepts but on comparing empirical facts Burke saw, heard, and felt, inferring general principles from similar facts. He continuously compares whether the principles he inferred apply in human society. This attitude of Burke is seen throughout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In particular, these three human abilities were a philosophical topic called theory of taste that was popular in England at the time. For Burke, the theory of taste was an attempt to discover some fundamental principles that enhance the ability to judge “people’s attitudes, characters, actions, intentions, relationships, values, and vices” through the study of emotions. He may have empirically realized that the expansion of experience and the resulting expansion of knowledge not only increases the amount of knowledge but also profoundly affects human life. That is why Burke added his opinions on taste to the preface of the second edition of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Before delving into the specific content of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I think the preface gave us some understanding of Burke’s intention in publishing the work. Humans are more influenced by emotions than reason, and contemplating emotions helps us understand humanity. The universal principles concerning emotions are believed to be the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