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edmund burke
-
버크의 프랑스 혁명 비판과 종교 정신
우리 주변에서 이성을 넘어서는 문제에 부딪히면 초월자를 찾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신의 존재를 부정하던 사람조차도 현실의 거대한 공포 앞에서는 겸손해지죠. 인간 사회의 오랜 근간을 이루어온 종교는 어느 사회에서나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해왔습니다. 종교는 사람들 사이에서 질서를 유지하고, 개인과 공동체의 행동 범위를 규정해왔습니다. 삶의 목표, 결혼관, 직업관, 인간관계, 관습 등은 종교와 깊은 관련 속에서 이루어져…
-
버크의 프랑스 혁명 비판과 기사도 정신
말을 탄 기사는 전장의 선봉에 섭니다. 기사는 맞은편에 있는 적군을 바라보며 곧 있을 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해 생각합니다. 그의 뒤에는 수천 명의 병사들이 정렬해 기사의 말과 행동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때가 되면, 기사는 병사들의 사기를 끌어올리고 가장 앞에서 적군을 향해 돌진합니다. 봉건 시대의 기사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자신에게 주어진 전투에 임했습니다. 물론 그중에는 자신의 안전을…
-
[1장]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읽어보자
기존의 상식을 깨우치는 버크의 방법은 간단했습니다. 많은 지식을 습득하기 전에 우리의 사고(思考)의 전환을 요구합니다. 버크는 [숭고와 미]의 서론에서 자신의 논거 방법을 설명합니다. 추상적이고 형이상적인 이론에 근거하지 않고, 18세기 영국의 철학자 존 로크의 경험론적 방법을 따라 구체적 일상에서의 관찰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펼쳐 나갑니다. 즉, 경험론적 관찰을 통해 인간을 고찰합니다. 그는 인간이 가진 능력을 세 가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