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움직이는 힘, “감정”

영국의 보수주의의 아버지라 불리는 에드먼드 버크는 “숭고와 미…” 저서를 통해 인간의 감정에 대해 고찰을 세상에 내놓습니다. 그는 18세기 영국의 많은 철학자들이 다룬 “미학적 관념”을 선택합니다. 당시 영국의 경험론자들은 프랑스의 “이성”을 중시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하려고 했습니다.

버크는 인간의 마음은 기본적으로 세 가지 상태에 놓여있다고 말합니다. 이 주장은 경험론의 일인자인 로크가 저술한 인간오성론에서의 마음의 상태와는 다른 견해를 나타냅니다. 로크는 인간은 고통과 즐거움 둘 중 어느 한쪽의 상태에 놓여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래서 즐거움이 줄어들면 고통이 늘어나는 것처럼 두 감정 관계를 표현합니다.

버크는 일상의 관찰을 통해 인간의 마음의 상태에 대해 독자들을 설득해 나갑니다. 왜냐하면 감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마음에 대해 짚고 넘어가야 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감정이 사람들의 마음과 행동을 바꾼다는 사실도 발견합니다. 감정에 대한 이해도가 사람들의 행동 패턴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했을지 모릅니다. 요즘 개념으로 말하면 자신을 성장하기 위한 감정 절제 정도로 이해하면 될 듯합니다.

18세기 당시에는 심리학이라는 학문은 없었지만 사람의 마음을 연구하는 학문이 발전하기 시작합니다. 처음에는 수학과 같이 눈에 보이는 데이터가 아닌 내면의 감정을 연구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의 표정과 행동 패턴을 관찰하면 감정의 실체가 안 보이는 것도 아닌 것이었습니다. 사회의 관습을 존중하는 영국 사회에서는 오랜 기간 형성되어온 사람들의 패턴이 존재하고, 관습에 대한 존중을 가진 태도를 가지게 된 것도 인간의 감정에 대한 경험론적 사고방식의 결과일 수도 있습니다.

오늘날 사회를 바꾸려면 혁신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사람들은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성적 사고를 통한 이상적 정책만으로는 인간사회를 바꾸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설령 좋은 제도가 입법되어도 시민사회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행동 패턴과 의식을 변혁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인간 사회가 좀 더 조화롭고 개개인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사람들 사이에 매너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매너는 사람들의 감정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됨에 따라 더욱 형성되기 쉽습니다. 영국에서 “매너가 사람을 만든다”라는 말이 그냥 나온 말이 아닙니다.

버크의 인간 감정에 대한 고찰은 감정에 대한 잘못된 기존의 의견에 대해 반기를 듭니다. 그리고 좋은 감정이 개개인의 행동을 바꾸고 더 나은 시민사회를 형성시키는 토대라고 믿었습니다. 보수주의적 사고는 “이성”이 아니라 “감정”을 통한 경험을 존중합니다.

Reflection on “The Sublime and Beautiful”-The Power that Moves People, Emotions

Edmund Burke, known as the father of conservatism, presents his reflections on human emotions in his book “The Sublime and Beautiful.” He chose to focus on the “aesthetic notions” discussed by many philosophers in 18th-century England. Unlike the French emphasis on “reason,” English empiricists at the time sought to understand humans through “emotion.”

Burke states that the human mind is fundamentally in one of three states: “pain,” “indifference,” and “pleasure.” He posits that humans are driven by these three emotions. This view contrasts with John Locke’s perspective in his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where Locke argues that humans are either in a state of pain or pleasure. He suggests that as pleasure decreases, pain increases, and vice versa.

Burke persuades his readers about the state of the human mind through everyday observations. To understand emotions, he believed it was essential to address the human mind. He also discovered that emotions change people’s minds and actions. Burke might have thought that understanding emotions could alter people’s behavior patterns. In today’s terms, this can be understood as emotional regulation for personal growth.

Although psychology as a discipline did not exist in the 18th century, the study of the mind began to develop. While studying emotions might seem impossible without visible numbers, emotions are not entirely invisible, as they can be observed through people’s expressions and behavior patterns. The long-standing respect for social customs in English society and the resulting patterns might be a product of empiricist thinking about human emotions.

Today, people think that innovative policies are necessary to change society. However, ideal policies based solely on rational thought have limitations in transforming human society. Even if good laws are enacted, for them to take root in civil society, it is crucial to transform citizens’ behavior patterns and consciousness. To create a more harmonious society where individuals can fully utilize their abilities, manners among people are essential. Manners are easier to develop as understanding of emotions improves. The saying “manners make the man” in England did not emerge without reason.

Burke’s reflections on human emotions challenge previous misconceptions about emotions. He believed that positive emotions could change individual behavior and form a better civil society. Conservative thought respects experiences through “emotion” rather than “reason.”

Aesthetic Value

우리는 “아름다움”에 끌립니다. 아름다움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아름답다”는 관념이 작용하는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는 것에 우리의 신체가 움직입니다. 외부의 강제적인 장치가 아니라 내면에서 스스로 “아름다움”을 찾아 행동합니다.

18세기 계몽주의자들이 “아름다움”을 연구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아름다움의 관념에 끌리는 인간 행동의 패턴, 습관을 통해 사회가 변화되기를 간절히 바랐죠. 하지만 종교 개혁 이후 중앙집권적 종교 생활이 해체된 이후, 분산적이고 개개인적 믿음 생활이 퍼지는 시대에, 통일된 “아름다움”의 관념 또한 다양해졌습니다.

근대 계몽철학자들은 인간 사회를 관찰하며 다양해 보이는 “아름다움”에서도 일정한 원리가 있다는 것을 알아차립니다. 인간의 공통의 본성, 감각기관 등의 요소들입니다. 이러한 공통의 요소가 사람들 사이에서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서로에게 “즐거움”을 느끼게 합니다.

“이 즐거움을 이용하자!”

사람들의 마음에 자연스럽게 변화를 촉구하는 하나의 학문으로 “미학적 가치”는 이용됩니다. 오늘날도 우리가 무엇을 느끼는가는 사람마다 다르게 보이지만 공통된 요소가 있습니다. “아름다움”의 관념이 주는 “즐거움”을 쫓아 자신을 바꾸고 사회가 보다 나은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좀 더 지혜롭게 사고하고 행동할 필요가 있습니다.

Aesthetic Value

We are drawn to “beauty.” It is difficult to define exactly what beauty is, but our bodies respond to the “pleasure” induced by the notion of “beautiful.” We act on our own to seek “beauty” from within, not through external coercion.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18th-century Enlightenment thinkers studied “beauty.” They fervently hoped that the patterns and habits of human behavior drawn to the idea of beauty would transform society. However, after the Reformation, when centralized religious life disintegrated and decentralized, individual faith practices spread, the unified notion of “beauty” also diversified.

Modern Enlightenment philosophers observed human society and realized that even in the seemingly diverse “beauty,” there are certain principles. These include common human nature, sensory organs, and so on. These common elements evoke “sympathy” among people and create “pleasure.”

“Let’s use this pleasure!”

“Aesthetic value” is used as a field of study to naturally encourage change in people’s minds. Even today, while it may seem that what we perceive as beautiful differs from person to person, there are common elements. To pursue the “pleasure” that the notion of “beauty” provides, we need to think and act more wisely to change ourselves and move society towards a better direction.

[1장]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읽어보자 

기존의 상식을 깨우치는 버크의 방법은 간단했습니다. 많은 지식을 습득하기 전에 우리의 사고(思考)의 전환을 요구합니다.

  1. “그 문제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요소들을 구별하여 하나씩 자세히 조사”(47)
  2. “비교”(48)
  3. “가정이 아니라 실험에 근거한 이론”(49)

버크는 [숭고와 미]의 서론에서 자신의 논거 방법을 설명합니다. 추상적이고 형이상적인 이론에 근거하지 않고, 18세기 영국의 철학자 존 로크의 경험론적 방법을 따라 구체적 일상에서의 관찰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펼쳐 나갑니다. 즉, 경험론적 관찰을 통해 인간을 고찰합니다.

그는 인간이 가진 능력을 세 가지로 열거합니다. “감각 능력”, “상상력”, “판단력”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능력이라는 전제 위에 인간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감각 기관]

“모든 인간들에게 감각 기관의 구조는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54)

우리는 오감을 통해 외부의 사물들을 인식합니다. 어떠한 사람에게도 감각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혹시나 인간의 감각 기관을 부정한다면 우리는 서로가 느끼는 감각적 느낌에 관해서는 대화가 통하지 않을 겁니다. 미각(Taste)에 관한 예를 들자면, “식초가 신 맛이 나고 꿀은 달콤하며…” 이러한 감각에 서로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어떠한 대화도 계속될 수 없을 것입니다.

[상상력]

“감각 기관을 통하여 사물들을 받아들이는 방식과 순서대로 그것들의 이미지를 떠올리거나 이 이미지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원래와는 다른 순서에 따라 자기 마음대로 결합하는 일종의 창조적 능력”(59)

“상상력은 공포와 희망, 그리고 그것들과 결부된 모든 감정들이 나타나는 영역이기에 기쁨과 고통이 나타나는 가장 광범위한 영역이다”(59)

감각 기관을 통한 외부 자극은 우리들에게 인상을 남기며 관념을 만들어 내면에서 쾌감/불쾌감을 느끼게 합니다. 감정에도 감각 기관과 동일하게 사람들 사이에서 일치하는 면이 있다고 말합니다. 왜냐하면 버크가 관찰하기에는 상상력은 “감각 기관의 대변자”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경험 속에서의 감각 기관의 지식의 축적은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만족감을 주며 서로에게 공감을 느끼게 합니다.

[판단력]

“감성적 능력을 뜻하거나, 상상력의 산물들이나 고상한 예술 작품들에 대해 판단하는 정신적 능력”(54)

버크는 감각 기관과 상상력의 결과로 우리는 감성적인 판단 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 말합니다. 훌륭한 예술 작품을 탁월하다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 그것이 좋은 판단력인 동시에 “좋은 취미”를 가진 사람입니다.

버크는 많은 사람들의 모습 속에서 공통적으로 위의 세 가지 능력들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 능력들은 따로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관찰합니다. 이러한 논거는 형이상적인 개념을 가정한 것이 아니라 버크가 보고 듣고 느낀 경험적 사실들을 비교하고 유사한 사실에서 일반 원리를 추론해 나갑니다. 동시에 자신이 추론한 원리를 인간 사회에서도 적용되는지 끊임없이 비교하며 논거하고 있죠. 이러한 버크의 연구자에 대한 태도는 [숭고와 미]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보여집니다.

특히 위의 인간의 세 가지 능력은 [취미론]이라는 당시 영국에서 유행했던 철학적 주제였습니다. 버크에게 있어 취미론은 감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간들의 태도나 성격, 행위나 의도, 인간들 사이의 관계, 가치와 악덕”과 같은 판단 능력을 향상시키는 어떠한 근본 원리를 발견하기 위한 시도였습니다. 그는 경험의 확장과 그에 따른 지식의 확장이 단순한 지식의 양만 커지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인간의 삶에 깊숙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 대해 경험적으로 깨달았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버크는 자신의 취미에 대한 의견을 [숭고와 미] 2판 서론에 덧붙였던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숭고와 미]의 내용을 살펴보기 전에 서론을 보면서 버크가 [숭고와 미]를 출판하게 된 의도를 조금은 파악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은 이성보다는 감정의 영향을 더 받으며 감정에 대한 고찰은 인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감정에 관한 보편적 원리는 개인의 판단 능력의 향상과 인간 사회를 발전시키는 초석이 된다는 믿음이 보여집니다. 단순한 미학의 이론서를 저술하기보다는 당시 개인들의 판단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적 활동의 일종이었습니다.

Burke’s Method of Enlightening Common Sense

Before acquiring a lot of knowledge, Burke required a shift in our thinking.

  1. “Distinguishing and examining each of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problem in detail” (47)
  2. “Comparison” (48)
  3. “A theory based on experiments, not assumptions” (49)

In the introduction to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Burke explains his method of argumentation. Rather than relying on abstract and metaphysical theories, he follows the empirical method of the 18th-century British philosopher John Locke, using observations from concrete everyday life to support his claims. In other words, he examines humanity through empirical observation.

He lists three abilities that humans possess: “sense perception,” “imagination,” and “judgment.” He explains humanity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se abilities are inherent to everyone.

[Sense Organs]

“Since the structure of sense organs is almost identical in all humans…” (54)

We perceive external objects through our five senses. We can see that everyone possesses the ability to sense. If we deny the sense organs of humans, we would be unable to communicate about sensory feelings. For example, regarding taste, if we did not agree that “vinegar is sour and honey is sweet,” we would not be able to continue any conversation.

[Imagination]

“A creative ability to recall images of things in the way and order they were received through the senses, or to combine these images in a new way and in a different order as one wishes” (59) “Imagination is the domain where fear and hope, and all emotions associated with them, manifest; it is the most extensive domain where joy and pain appear” (59)

Stimuli from the sense organs leave an impression on us and create notions that make us feel pleasure or discomfort internally. Burke states that emotions, like the sense organs, have aspects that are consistent among people. This is because, as Burke observes, imagination is merely “the spokesperson for the sense organs.”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from the sense organs through many experiences provides people with pleasure and satisfaction, leading to mutual empathy.

[Judgment]

“Aesthetic capacity, or the mental ability to judge the products of imagination or fine art” (54)

Burke states that as a result of the sense organs and imagination, we can develop aesthetic judgment. The ability to evaluate an excellent work of art as outstanding, that is good judgment and at the same time being a person of “good taste.”

Burke observes that many people commonly possess the above three abilities and that these abilities are not separate but closely interconnected. This argument is not based on metaphysical concepts but on comparing empirical facts Burke saw, heard, and felt, inferring general principles from similar facts. He continuously compares whether the principles he inferred apply in human society. This attitude of Burke is seen throughout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In particular, these three human abilities were a philosophical topic called theory of taste that was popular in England at the time. For Burke, the theory of taste was an attempt to discover some fundamental principles that enhance the ability to judge “people’s attitudes, characters, actions, intentions, relationships, values, and vices” through the study of emotions. He may have empirically realized that the expansion of experience and the resulting expansion of knowledge not only increases the amount of knowledge but also profoundly affects human life. That is why Burke added his opinions on taste to the preface of the second edition of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Before delving into the specific content of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I think the preface gave us some understanding of Burke’s intention in publishing the work. Humans are more influenced by emotions than reason, and contemplating emotions helps us understand humanity. The universal principles concerning emotions are believed to be the foundation

[Introduction]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읽어보자

에드먼드 버트의 초기 작품인 “숭고와 미“를 함께 읽어보자

상식에 대한 도전

어떤 사람에게 모두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는 사실/의견에 대해 “그 사실은 틀린 사실이야”라고 말한다면, 거부를 당한 것 같은 사실로 인해 당사자 내면은 감정 방어 시스템으로부터 불쾌함을 발동할 것입니다. 불쾌감은 부정적인 감정이지만 사람들의 주목을 모으고 발화자의 의견에 귀 기울이는 긍정적인 방향으로도 인도합니다. 버크는 시민사회의 개혁을 위해 당시 철학자들 사이에서 화제였던 논제 중 “숭고함”에 대한 상식에 대해 도전하여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저자는 숭고와 아름다움이 자주 혼동되고 있으며 서로 매우 다른 사물들이나 때로는 정반대되는 성질을 지닌 사물들에게 무차별적으로 적용되고 있음을 간파하였다.”

왜 “숭고함”일까? 그 이유는 기회가 있으면 다른 글에서 설명하겠습니다. 오늘 우리가 주목할 초점은 굳건하게 유지되고 있던 철학적 사실에 대해 반기를 든 버크의 주장입니다.

18세기라는 시대는 사람들의 세계관이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사회가 급변하는 시기입니다. 오랫동안 교회가 주장하는 인간관과 사회관이 힘을 잃어버리는 시대이기도 하죠. 그러니까 기존에 상식이었던 인생의 중요한 진실들 사이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 거죠.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버크는 기존의 인간을 고찰할 때 자주 사용되었던 “숭고함”과 “아름다움”을 사용하여 인간의 새로운 사실을 밝히려고 시도합니다.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버크는 새로운 인간관을 정의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인간의 지적 한계를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물리적 원인의 연구를 통해서는 우리의 정신이 활짝 열어젖혀지고 넓어질 것이고, 이 연구에서 성공하든 실패하든 이러한 노력에는 분명히 대가가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버크는 왜 미학에 관한 이론서를 썼는지는 명확합니다. 자신이 알고 있던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론에 모순점을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자신조차도 확실하지는 않지만 거대한 지적 세계의 흐름 속에서 자신의 연구를 추가함으로 조금이나마 인간에 대한 이해도가 올라가기를 바라고 있죠.

:내용에 들어가기 앞서 [숭고와 미]를 쓴 의도를 명확히 함으로 저자가 의도하지 않는 잘못된 해석에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버크의 주장이 기존의 상식과 얼마나 다른지 함께 살펴보면서 사람들의 상식을 어떻게 깨우치는지 버크의 논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그러면서 현재의 우리 삶에도 깨어야 할 상식이 있는지 고찰해보는 것도 유익할 것 같습니다.


[Introduction] Let’s Read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challenge to common sense

If you tell someone, “That fact is incorrect” about a fact or opinion everyone naturally accepts, the recipient’s inner emotional defense system will trigger discomfort due to the apparent rejection. Discomfort is a negative emotion, but it can attract attention and lead people to listen to the speaker’s opinion in a positive direction. Burke gained significant attention by challenging the common sense regarding “sublimity,” a topic of interest among philosophers of his time, as a means of reforming civil society.

“The author perceived that the sublime and the beautiful are often confused and indiscriminately applied to very different or even opposite things.”

Why “sublimity”? The reason will be explained in another article if given the opportunity. Today, we will focus on Burke’s argument, which challenged firmly held philosophical facts.

The 18th century was a period of rapid change in people’s worldviews and a time of significant social transformation. It was also a time when the church’s long-held views on humanity and society were losing power. Consequently, the important truths of life that were once common sense began to show cracks. Against this backdrop, Burke attempted to reveal new truths about humanity using the frequently employed concepts of “sublimity” and “beauty.”

It should not be misunderstood that Burke was trying to define a new concept of humanity. He was aware of the intellectual limits of humans.

“Through the study of physical causes, our minds will be opened and expanded, and whether this study succeeds or fails, such efforts will undoubtedly have a reward.”

The reason Burke wrote a theoretical book on aesthetics is clear. He discovered contradictions in the theories about humans and society that he knew. Although he himself was not entirely certain, he hoped that adding his research to the vast flow of intellectual thought would slightly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humanity.

Before diving into the content, clarifying the intent behind writing [The Sublime and Beautiful] is crucial to avoid unintended misinterpretations by the author.

Let’s explore how Burke’s arguments differ from existing common sense and how he awakens people’s common sense. This can also be an opportunity to consider whether there are common senses in our current lives that need to be awake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