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미학

  • 정치적 미적 판단

    자신과 공동체를 지키는 마음은 아주 자연스러운 감정 중 하나입니다. 감정이라고 표현하지만, 무언가를 지키는 과정은 가능한 한 이성적 판단력을 가지고 진행해야 하는 일입니다. 그렇다면 개인의 일상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정치적 리더를 선출하는 과정도 위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 당연하겠죠. 미국도, 일본도, 한국도 현대 민주주의 국가들의 정치적 리더가 선출되는 과정을 보면 연예인의 인기투표와의 차이점을 눈치채기 어려울…

  • 이성 보다는 감정

    영국의 보수주의의 아버지라 불리는 에드먼드 버크는 “숭고와 미…” 저서를 통해 인간의 감정에 대해 고찰을 세상에 내놓습니다. 그는 18세기 영국의 많은 철학자들이 다룬 “미학적 관념”을 선택합니다. 당시 영국의 경험론자들은 프랑스의 “이성”을 중시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하려고 했습니다. 버크는 인간의 마음은 기본적으로 세 가지 상태에 놓여있다고 말합니다. 이 주장은 경험론의 일인자인 로크가 저술한 인간오성론에서의 마음의 상태와는 다른 견해를 나타냅니다.…

  • 아름다움의 가치

    우리는 “아름다움”에 끌립니다. 아름다움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아름답다”는 관념이 작용하는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는 것에 우리의 신체가 움직입니다. 외부의 강제적인 장치가 아니라 내면에서 스스로 “아름다움”을 찾아 행동합니다. 18세기 계몽주의자들이 “아름다움”을 연구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아름다움의 관념에 끌리는 인간 행동의 패턴, 습관을 통해 사회가 변화되기를 간절히 바랐죠. 하지만 종교 개혁 이후 중앙집권적 종교 생활이 해체된 이후,…

  • [1장]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읽어보자 

    기존의 상식을 깨우치는 버크의 방법은 간단했습니다. 많은 지식을 습득하기 전에 우리의 사고(思考)의 전환을 요구합니다. 버크는 [숭고와 미]의 서론에서 자신의 논거 방법을 설명합니다. 추상적이고 형이상적인 이론에 근거하지 않고, 18세기 영국의 철학자 존 로크의 경험론적 방법을 따라 구체적 일상에서의 관찰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펼쳐 나갑니다. 즉, 경험론적 관찰을 통해 인간을 고찰합니다. 그는 인간이 가진 능력을 세 가지로…

  • [Introduction]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읽어보자

    에드먼드 버트의 초기 작품인 “숭고와 미“를 함께 읽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