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조용한혁명, 제21대 대선이 남긴것

0
52

대한민국은 대통령제를 채택한 나라입니다. 이 때문에 대통령이 가지는 대표성과 권한은 정치 영역을 넘어 사회 전반에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 국민들은 대통령이 자신의 삶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는 선거 참여의 동기가 되기도 합니다. 실제로 이번 제21대 대통령 선거의 투표율은 79.4%에 달하며,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대선이 대한민국에 남긴 유익은 분명합니다.

첫째, 정치에 대한 국민적 열정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세계 각국의 정치제도는 다르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이번 대선의 투표율은 국제적으로도 이례적인 수치입니다. 이는 단지 제도를 운영하는 수준을 넘어, 국민들이 ‘시민’으로서 공적 책임을 자각하고 실천했음을 보여줍니다. 정치가 국민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이 광범위하게 공유되고 있음을 방증합니다.

둘째, 보수 진영에서 새로운 리더가 등장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의 후보는 이미 지난 20대 대선에도 출마했던, 오랜 기간 준비된 인물이었습니다. 안정적 리더십이 요구되는 시점에서는 준비된 후보의 등장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보수 진영의 후보는 상대적으로 정치권에서 신선한 인물이었으며, 대선 과정에서 리더로서의 자질을 입증했습니다. 이는 기존의 정치 구도에 균열을 내고, 보수 진영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 계기였습니다.

물론 이번 대선은 말 그대로 말도 많고 탈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그만큼 대한민국이라는 공동체에 대한 국민들의 애정과 관심이 각자의 방식으로 표현된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결과에 승복하고, 국민의 선택을 존중하는 태도는 민주주의 사회의 성숙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었습니다.

보수 진영은 이제 이번 선거를 통해 얻은 성과를 냉정하게 성찰하고, 다음을 준비해야 할 때입니다. ‘조용한 혁명’이 이제 막 시작되었습니다. 이 변화의 흐름이 어디로 향할지, 그 첫 장이 써졌습니다.

A Quiet Revolution: What South Korea’s 21st Presidential Election Left Behind

South Korea’s presidential system grants significant representational and practical authority to the head of state. The president is seen not only as a political figure but as someone who can influence the everyday lives of citizens. This awareness was reflected in the record-high turnout of 79.4% in the 21st presidential election. The benefits of this election are worth noting.

First, the nation’s passion for politics was reaffirmed.
Although political systems vary across countries, this level of voter participation is globally exceptional. It reveals a widespread recognition among citizens that voting is not just a procedural act but a public responsibility. Politics is no longer seen as distant from everyday life, but rather as something that directly affects it.

Second, a new leader emerged from the conservative camp.
The Democratic Party’s candidate had also run in the 20th election, representing a well-prepared, long-standing political figure. In times of political volatility, such preparedness can be seen as a strength. On the other hand, the conservative candidate was relatively new to the national stage. Yet throughout the campaign, he demonstrated leadership potential, opening new horizons for the conservative bloc and shifting existing political dynamics.

To be sure, this election was not without its controversies. But the intensity of the discourse only highlighted the public’s deep attachment to the Korean polity. The willingness to accept the outcome with civility and grace was a hallmark of democratic maturity.

For conservatives, now is the time to reflect soberly on what has been gained and begin preparing for what comes next. A quiet revolution has begun, and its direction will be shaped by how we write its next chapter.

静かな革命――第21代大統領選挙が韓国にもたらしたもの

韓国は大統領制を採用している国家であり、そのため大統領の持つ象徴性と実際の権限は、政治の枠を超えて社会全体に強い影響を及ぼします。国民は、大統領が自身の生活に実質的な影響を及ぼし得る存在であると認識しており、それが選挙への参加意欲につながっています。実際、第21代大統領選挙では投票率が79.4%に達し、過去最高を記録しました。この選挙が韓国にもたらした意義は明確です。

第一に、国民の政治への情熱が再確認されました。
各国の政治制度が異なるため単純な比較はできませんが、今回の投票率は国際的にも異例の高さです。これは、政治が人々の私的領域から切り離された遠い存在ではなく、自らが果たすべき公的責任の一部であると、多くの国民が認識し、行動に移した証だと言えるでしょう。

第二に、保守陣営から新たなリーダーが登場しました。
共に民主党の候補者は、前回の第20代選挙にも出馬した人物であり、長年にわたり準備された存在でした。不確実な政局では、こうした「準備された候補」が国家の安定に寄与することもあるでしょう。一方で、保守陣営の候補者は、それまで大統領候補としてあまり注目されてこなかった人物でしたが、選挙戦を通じてリーダーとしての資質を示しました。この出来事は、保守陣営に新たな可能性を切り開く契機となりました。

もちろん、今回の大統領選挙には多くの議論や対立がありました。しかしそれは同時に、韓国という共同体に対する国民の深い関心と愛着が、さまざまな形で表出された時期でもありました。選挙結果を受け入れ、それを尊重する姿勢は、民主主義社会の成熟を象徴するものです。

保守陣営にとって今は、この選挙で得た成果を冷静に振り返り、次の戦いに向けて準備を始めるべき時です。「静かな革命」は今、幕を開けたばかりです。その流れがどこへ向かうのか――その第一章が、いま記されました。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