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 학문을 권함 2 (형식보다 더 중요한 본질)

사람은 살아가는 데 있어서 일정한 생활양식이 필요하며 동시에 삶을 영위하는 숭고한 정신 또한 필요합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모인 사회도 사회의 제도뿐만 아니라 개인들이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한 “공통의 정신”이 필요합니다.

일본의 근대화를 국가의 제도적 변혁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의식의 변화도 촉구했던 후쿠자와 유키치는 국가의 본질적인 부분을 지적합니다.

“이것은 눈에 보이지도 귀에 들리지도 사고팔 수도 빌려주고 빌릴 수도 없다. 그러나 국민들 사이에서 존재하며 그 작용은 상당히 강하다. 이것이 없다면 학교와 비슷한 형태들도 실제로 쓸모가 없다. 진정한 “문명의 정신”이라고 불릴 것이 정말로 중요하다. 그렇다면 그것은 무엇일까? “인민의 독립적인 기풍”이다.

국민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침투되고 있는 “문명의 정신”은 국가가 발전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요소였습니다. 갑작스럽게 서양의 정치제도, 생활양식이 들어오기 시작한 메이지 시대 속에서 후쿠자와는 사람들이 눈에 보이는 형식을 쫓아가는 모습을 향해 본질을 지적합니다.

보이지 않는 정신을 어떻게 쫓아가는 문제는 각 사회마다 다르고 해결책도 다를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놓쳐서는 안 되는 사실은 정치제도의 변혁만큼 사람들의 내면의 변화도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신중하게 한 걸음 한 걸음 리드할 수 있는 정치적 리더가 필요할 때입니다.

Humans need a certain lifestyle to live, and at the same time, they also need a noble spirit to sustain their lives. Likewise, a society composed of people requires not only systems but also a “shared spirit” for individuals to live in harmony.

Fukuzawa Yukichi, who advocated for the modernization of Japan by calling for not only institutional reforms but also a change in people’s consciousness, pointed out the essential part of a nation.

“This is neither visible to the eye nor audible to the ear. It cannot be bought or sold, lent or borrowed. Yet, it exists among the people, and its influence is considerably strong. Without it, even institutions similar to schools are practically useless. What is truly important is what we call the ‘spirit of civilization.’ What is it then? It is the ‘independent spirit of the people.’”

The “spirit of civilization” naturally permeating among the people was an indispensable eleme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During the Meiji era, when Western political systems and lifestyles suddenly started to come in, Fukuzawa emphasized the essence while people were following visible forms.

The issue of how to pursue an invisible spirit varies by society, and so do the solutions. However, the fact we must not overlook is that the inner change of people is as important as political reforms. It is a time when we need political leaders who can lead cautiously, step by step.

[BR] 학문을 권함 1 (미움 받는 지식인의 용기)

일본의 근대화를 이끈 많은 지도자들 중에 지식인이라고 말할 수 있는 한 사람을 꼽으라면 “후쿠자와 유키치”(福沢諭吉)를 떠올리는 일본인들이 많을 겁니다. 이전 일본 화폐 1만 엔의 모델이었던 그는 자신이 경험하고 깨달은 지식을 거침없이 대중들에게 발언했습니다. 그의 지혜는 오늘날에 사는 우리들에게도 영감을 주는 말들이 많습니다.

그의 대표 저서 중 하나인 “학문을 권함”에는 한 국가가 문명을 이루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은 정부에만 있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한 국가의 문명은 정부의 힘으로만 발전되지 않는다”

라고 정부가 주도하고 이끄는 톱다운식의 변혁을 비판합니다. 그러면서 국가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기풍“ 또한 변화해야 하는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일본이 문명 국가로 발전하지 못하는 원인 중 하나에 대해 국민들에게도 단호하게 이야기합니다.

”그 원인은 국민의 무지무학에 있다“

후쿠자와는 자신이 생각한 이상적인 국가, 문명 국가를 이루기 위해 특정 권력 집단에도 다수의 국민에도 치우치지 않고 의견을 냅니다. 그의 모습에서 지식인의 참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건 “참된 지식을 위해 미움을 받는 용기“입니다. 오늘날의 지식인에게도 필요한 중용의 자세입니다.

Fukuzawa Yukichi: A True Intellectual

Among the many leaders who led the modernization of Japan, if one were to name a scholar, many Japanese would think of Fukuzawa Yukichi (福沢諭吉). Formerly the model for the 10,000 yen bill, he spoke boldly to the public about the knowledge he gained through his experiences and insights. His wisdom continues to inspire us today.

In one of his notable works, “An Encouragement of Learning,” he does not claim that the critical actor in the civilization of a nation lies solely with the government.

“The civilization of a nation cannot progress through the power of the government alone,”

he criticizes the top-down transformations led by the government. He emphasizes the need for a change in the “spirit of the people” for the nation to progress. Fukuzawa also addresses the people directly, pointing out one of the reasons Japan has not developed into a civilized nation.

“The reason lies in the ignorance and lack of education among the people.”

Fukuzawa, in his pursuit of an ideal civilized nation, presents his opinions without bias toward any particular power group or the masses. His stance reflects the true spirit of an intellectual, which is “the courage to be hated for the sake of true knowledge.” This balanced approach is something that today’s intellectuals also need to adopt.

[1장] “숭고와 아름다움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읽어보자 

기존의 상식을 깨우치는 버크의 방법은 간단했습니다. 많은 지식을 습득하기 전에 우리의 사고(思考)의 전환을 요구합니다.

  1. “그 문제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요소들을 구별하여 하나씩 자세히 조사”(47)
  2. “비교”(48)
  3. “가정이 아니라 실험에 근거한 이론”(49)

버크는 [숭고와 미]의 서론에서 자신의 논거 방법을 설명합니다. 추상적이고 형이상적인 이론에 근거하지 않고, 18세기 영국의 철학자 존 로크의 경험론적 방법을 따라 구체적 일상에서의 관찰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펼쳐 나갑니다. 즉, 경험론적 관찰을 통해 인간을 고찰합니다.

그는 인간이 가진 능력을 세 가지로 열거합니다. “감각 능력”, “상상력”, “판단력”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능력이라는 전제 위에 인간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감각 기관]

“모든 인간들에게 감각 기관의 구조는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54)

우리는 오감을 통해 외부의 사물들을 인식합니다. 어떠한 사람에게도 감각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혹시나 인간의 감각 기관을 부정한다면 우리는 서로가 느끼는 감각적 느낌에 관해서는 대화가 통하지 않을 겁니다. 미각(Taste)에 관한 예를 들자면, “식초가 신 맛이 나고 꿀은 달콤하며…” 이러한 감각에 서로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어떠한 대화도 계속될 수 없을 것입니다.

[상상력]

“감각 기관을 통하여 사물들을 받아들이는 방식과 순서대로 그것들의 이미지를 떠올리거나 이 이미지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원래와는 다른 순서에 따라 자기 마음대로 결합하는 일종의 창조적 능력”(59)

“상상력은 공포와 희망, 그리고 그것들과 결부된 모든 감정들이 나타나는 영역이기에 기쁨과 고통이 나타나는 가장 광범위한 영역이다”(59)

감각 기관을 통한 외부 자극은 우리들에게 인상을 남기며 관념을 만들어 내면에서 쾌감/불쾌감을 느끼게 합니다. 감정에도 감각 기관과 동일하게 사람들 사이에서 일치하는 면이 있다고 말합니다. 왜냐하면 버크가 관찰하기에는 상상력은 “감각 기관의 대변자”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경험 속에서의 감각 기관의 지식의 축적은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만족감을 주며 서로에게 공감을 느끼게 합니다.

[판단력]

“감성적 능력을 뜻하거나, 상상력의 산물들이나 고상한 예술 작품들에 대해 판단하는 정신적 능력”(54)

버크는 감각 기관과 상상력의 결과로 우리는 감성적인 판단 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 말합니다. 훌륭한 예술 작품을 탁월하다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 그것이 좋은 판단력인 동시에 “좋은 취미”를 가진 사람입니다.

버크는 많은 사람들의 모습 속에서 공통적으로 위의 세 가지 능력들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 능력들은 따로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관찰합니다. 이러한 논거는 형이상적인 개념을 가정한 것이 아니라 버크가 보고 듣고 느낀 경험적 사실들을 비교하고 유사한 사실에서 일반 원리를 추론해 나갑니다. 동시에 자신이 추론한 원리를 인간 사회에서도 적용되는지 끊임없이 비교하며 논거하고 있죠. 이러한 버크의 연구자에 대한 태도는 [숭고와 미]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보여집니다.

특히 위의 인간의 세 가지 능력은 [취미론]이라는 당시 영국에서 유행했던 철학적 주제였습니다. 버크에게 있어 취미론은 감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간들의 태도나 성격, 행위나 의도, 인간들 사이의 관계, 가치와 악덕”과 같은 판단 능력을 향상시키는 어떠한 근본 원리를 발견하기 위한 시도였습니다. 그는 경험의 확장과 그에 따른 지식의 확장이 단순한 지식의 양만 커지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인간의 삶에 깊숙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 대해 경험적으로 깨달았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버크는 자신의 취미에 대한 의견을 [숭고와 미] 2판 서론에 덧붙였던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숭고와 미]의 내용을 살펴보기 전에 서론을 보면서 버크가 [숭고와 미]를 출판하게 된 의도를 조금은 파악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은 이성보다는 감정의 영향을 더 받으며 감정에 대한 고찰은 인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감정에 관한 보편적 원리는 개인의 판단 능력의 향상과 인간 사회를 발전시키는 초석이 된다는 믿음이 보여집니다. 단순한 미학의 이론서를 저술하기보다는 당시 개인들의 판단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적 활동의 일종이었습니다.

Burke’s Method of Enlightening Common Sense

Before acquiring a lot of knowledge, Burke required a shift in our thinking.

  1. “Distinguishing and examining each of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problem in detail” (47)
  2. “Comparison” (48)
  3. “A theory based on experiments, not assumptions” (49)

In the introduction to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Burke explains his method of argumentation. Rather than relying on abstract and metaphysical theories, he follows the empirical method of the 18th-century British philosopher John Locke, using observations from concrete everyday life to support his claims. In other words, he examines humanity through empirical observation.

He lists three abilities that humans possess: “sense perception,” “imagination,” and “judgment.” He explains humanity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se abilities are inherent to everyone.

[Sense Organs]

“Since the structure of sense organs is almost identical in all humans…” (54)

We perceive external objects through our five senses. We can see that everyone possesses the ability to sense. If we deny the sense organs of humans, we would be unable to communicate about sensory feelings. For example, regarding taste, if we did not agree that “vinegar is sour and honey is sweet,” we would not be able to continue any conversation.

[Imagination]

“A creative ability to recall images of things in the way and order they were received through the senses, or to combine these images in a new way and in a different order as one wishes” (59) “Imagination is the domain where fear and hope, and all emotions associated with them, manifest; it is the most extensive domain where joy and pain appear” (59)

Stimuli from the sense organs leave an impression on us and create notions that make us feel pleasure or discomfort internally. Burke states that emotions, like the sense organs, have aspects that are consistent among people. This is because, as Burke observes, imagination is merely “the spokesperson for the sense organs.”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from the sense organs through many experiences provides people with pleasure and satisfaction, leading to mutual empathy.

[Judgment]

“Aesthetic capacity, or the mental ability to judge the products of imagination or fine art” (54)

Burke states that as a result of the sense organs and imagination, we can develop aesthetic judgment. The ability to evaluate an excellent work of art as outstanding, that is good judgment and at the same time being a person of “good taste.”

Burke observes that many people commonly possess the above three abilities and that these abilities are not separate but closely interconnected. This argument is not based on metaphysical concepts but on comparing empirical facts Burke saw, heard, and felt, inferring general principles from similar facts. He continuously compares whether the principles he inferred apply in human society. This attitude of Burke is seen throughout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In particular, these three human abilities were a philosophical topic called theory of taste that was popular in England at the time. For Burke, the theory of taste was an attempt to discover some fundamental principles that enhance the ability to judge “people’s attitudes, characters, actions, intentions, relationships, values, and vices” through the study of emotions. He may have empirically realized that the expansion of experience and the resulting expansion of knowledge not only increases the amount of knowledge but also profoundly affects human life. That is why Burke added his opinions on taste to the preface of the second edition of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Before delving into the specific content of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lime and Beautiful, I think the preface gave us some understanding of Burke’s intention in publishing the work. Humans are more influenced by emotions than reason, and contemplating emotions helps us understand humanity. The universal principles concerning emotions are believed to be the foundation

[BR] 기독교인의 자유

“우린 자유를 향한 영원한 갈망이 있다”

현대인의 삶은 부모 세대와는 사뭇 다른 형태를 띠고 있다. 예전에는 오늘날보다는 공동체적인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개인과 개인의 연결고리가 강했다. 공동체를 위한 개인에게 부과하는 조그마한 제약은 당연한 습관이었다. 그에 비해 요즘 세대는 그렇지 않다. 자신을 속박하는 어떠한 사상과 체계에도 위화감을 느끼는 감각을 가졌다. 개인으로서 좀 더 자유로운 삶을 꿈꾼다.

여기 종교개혁자 중에 한 명인 마틴 루터가 “자유”에 대해 설명한다. 기독교인에 대한 이야기이지만 인간의 본질의 관점에 대한 설명으로 신자가 아니더라도 모두에게 좋은 질문을 던진다.

루터는 기독교인은

“기독교인은 모든 것 위에 선 자유의 군주이며 누구에게도 종속되지 않는다“

이렇게 선언한다. 얼마나 멋진 명제인가! 이 명제는 얼핏 보면 기독교 사상을 말하는 것 같지만 우리의 존재 자체가 그러한 위치에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우리는 의지를 원하는 것을 가지기 위해 움직일 수 있는 신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기본적인 능력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지만 루터는 그러한 자유로운 존재의 위치를 가지고 자신만을 위해 사는 것이 진짜 자유라고 말하지 않는다.

“기독교인은 모든 사람의 종이며 누구에게나 종속된다”

우리의 본능은 자신만을 위해 살라고 한다. 본능에 거스르는 삶, 타인을 위해 사는 삶을 선택하는 자유야말로 본능에 종속된 자신에게 자유를 부여하는 최고의 선택인 것이다. 그렇기에 오늘날 공동체적 의식이 약해지는 현상은 자신만을 위해 살고자 하는 자기 자신의 본능에 종속된 자유롭지 못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모순되는 두 명제는 오늘날 우리에게 많은 생각을 던진다. 자신만을 위해 사는 것은 더 이상 진정한 자유로운 존재라고 말할 수는 없다. 자유라고 잘못된 판단한 욕망에 끌려가는 삶을 사는 것뿐이다.

진정한 자유는 가능할까요?

“We have an eternal yearning for freedom.”

The lives of modern people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generation. In the past, there was a more communal tendency than today. Hence, the connections between individuals were strong. Small restrictions imposed on individuals for the sake of the community were considered natural habits. In contrast, today’s generation does not feel this way. They have a sense of discomfort with any ideology or system that restrains them. They dream of a freer life as individuals.

Here, Martin Luther, one of the religious reformers, explains “freedom.” Although he talks about Christians, his explanation regarding the essence of humanity poses good questions for everyone, whether they are believers or not.

Luther declares that Christians are:

“Christians are the free lords of all things and subject to no one.”

What a splendid proposition! At first glance, it seems to be talking about Christian ideology, but it actually speaks to the fact that our very existence holds such a position. We possess bodies that can move to obtain what our will desires. Luther explains this basic human ability.

However, Luther does not say that living solely for oneself with such a free position is true freedom.

“Christians are the servants of all and subject to everyone.”

Our instincts tell us to live for ourselves. Choosing a life that goes against these instincts, a life lived for others, is the highest choice that grants freedom to oneself, who is otherwise enslaved by instinct. Therefore, the weakening of communal consciousness today may indicate a state of unfreedom, enslaved by the instinct to live only for oneself.

These two contradictory propositions give us much to think about in our times. Living only for oneself can no longer be called a truly free existence. It is merely a life driven by desires mistakenly perceived as freedom.

Is true freedom possible?

보수의 본질적 가치 “자유”

국민의 힘은 더 이상 보수 세력을 대표하지 않습니다.

국민의 힘은 더 이상 보수 세력을 대표하지 않습니다.

보수의 본질적 가치는 자유를 추구합니다. 어떠한 정치적 어젠다에 대해서도 자신의 경험에서 얻은 확고한 의견을 가집니다. 열린 마음으로 토론하고 심지어 정치적 적과도 토론할 때에도 유익한 정치적 견해를 이끌어냅니다.

우리는 폭력을 사랑하지 않으며 오로지 시간의 세례를 받은 성숙한 의견 앞에 겸손합니다.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에 감사함을 느끼며 이 자유를 자신의 유익을 위해 사용하지 않습니다. 보수는 무엇보다 자신과 공동체, 과거와 현재에 대해 애착을 가집니다.

보수의 본질적 가치와 삶의 태도를 나열했습니다. 위의 내용을 비추어 보면 현 국민의 힘은 진정한 보수 세력을 대표한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그렇기에 보수의 가치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국민의 힘의 전당대회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에 실망할 필요 없습니다. 우린 때를 기다립니다.

The People Power Party no longer represents the conservative forces.

The fundamental value of conservatism pursues freedom. It holds firm opinion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on any political agenda. With an open mind, it engages in discussions and even draws valuable political insights from debates with political opponents.

We do not love violence and are humble before mature opinions that have stood the test of time. We feel gratitude for the freedom we enjoy and do not use this freedom for personal gain. Above all, conservatism cherishes affection for oneself, the community, the past, and the present.

Having listed the essential values and attitudes of conservatism,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current People Power Party truly represents conservative forces. Therefore, those who live by conservative values need not be disappointed by the incidents at the People Power Party’s conventions. We wait for the righ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