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025년 1월 26일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대한민국 헌정 사상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이 구속되어 사법부의 판단을 받게 되었습니다. 역사에 남을 정치적 사건 앞에, 대한민국 국민은 현명한 판단을 내려야 할 중요한 순간을 맞이하였습니다.
지금까지 대한민국을 지켜온 선조들은 “정치 내부의 혼란 속에서도 공공의 이익”을 지켜왔습니다. 역사를 돌아보면, 국내 정치적 혼란은 특정 정치 집단 간의 알력 싸움에서 비롯되곤 했습니다. 하지만 말뿐인 위정자들과 달리, 이 땅을 지켜온 선조들은 이러한 혼돈에 집중하지 않았습니다. 실체적 적을 명확히 인식하고 공격하는 데 주저함이 없었으며, 혼란을 잠재우는 데 급급하기보다 공공의 이익을 위한 실질적 방법을 모색하는 데 전력을 다했습니다.
대한민국은 높은 시민의식을 지닌 국가입니다. 35년간의 일본 식민지 시대, 6.25 전쟁으로 인한 전국토 황폐화, 끊임없는 북한의 전쟁 도발 등 어려운 국내외 정치적 환경 속에서도 대한민국은 수준 높은 자유민주주의 국가로 성장해왔습니다. 이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헌신한 선배들의 노력의 결실입니다. 오늘날 대한민국은 수준 높은 교육 제도, 세계 어디에도 없는 의료 시스템, 그리고 K-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문화적 성과 등 시민 사회의 우수함이 열매를 맺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개인의 자유를 지키는 동시에 공동체를 함께 지켜가야 합니다. 왜냐하면, 개인은 영원한 시간 속에서 한정된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현세대는 선배들로부터 받은 유익을 후배들에게도 전할 의무가 있습니다.
The Prevalence of Postmodernism and the National Crisis
On January 26, 2025, President Yoon Suk-yeol was indicted on charges of being the “leader of a rebell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South Korea’s constitutional governance, a sitting president has been arrested and will stand trial in court. At this pivotal moment in history, the people of South Korea must make a wise and discerning judgment.
Throughout history, the ancestors who defended this nation have always prioritized “the public good amidst political turmoil.” Political conflicts have often stemmed from internal strife among political factions. However, unlike superficial politicians, our forebears did not focus on the chaos of internal struggles. They clearly identified and decisively confronted tangible threats. Instead of merely trying to suppress disorder, they devoted themselves to finding practical ways to uphold the public good.
South Korea is a nation of high civic consciousness. Despite enduring 35 years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devastation of the Korean War, and relentless provocations from North Korea, the country has built a mature liberal democracy under challeng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This achievement is the result of the dedication of those who genuinely sought the public good. Today, South Korea is reaping the benefits of a superior education system, unparalleled healthcare services, and cultural advancements, such as globally renowned K-content, that demonstrate the excellence of its civil society.
We must protect individual freedoms while safeguarding the community as a whole because individuals are finite beings within the eternal flow of time. Our generation has a responsibility to pass on the benefits we have received from our predecessors to future generations.
ポストモダニズムの蔓延と国家の危機
2025年1月26日、ユン・ソギョル大統領が「内乱の首謀者」という容疑で起訴されました。韓国憲政史上初めて、現職大統領が拘束され、司法の判断を受けることになりました。この歴史的な政治的事件を前に、大韓民国国民は賢明な判断を下すべき重要な時を迎えています。
これまで大韓民国を守り続けてきた先祖たちは、「政治の内部混乱の中でも公共の利益」を守ってきました。歴史を振り返ると、国内の政治的混乱は特定の政治集団間の対立から生じることが多かったです。しかし、言葉だけの為政者とは異なり、この国を守り続けてきた先祖たちは、このような混乱に集中することはありませんでした。実際の敵を明確に認識し、果断に対応することをためらわず、混乱を抑えることに終始するのではなく、公共の利益を守るための実際的な方法を模索することに全力を尽くしました。
大韓民国は高い市民意識を持つ国家です。35年間にわたる日本の植民地時代、6.25戦争による国土の荒廃、そして絶え間ない北朝鮮の挑発など、困難な国内外の政治環境の中で、韓国は成熟した自由民主主義国家へと成長してきました。これは、公共の利益を真に追求した先輩たちの努力の結晶です。今日、大韓民国は、優れた教育制度、世界でも類を見ない医療システム、そしてKコンテンツを中心とした文化的成果など、市民社会の卓越性が実を結び始めています。
私たちは個人の自由を守ると同時に、共同体をともに守り続けなければなりません。なぜなら、個人は永遠の時間の中で限られた存在であるからです。現世代は、先輩たちから受けた恩恵を後輩たちに伝える義務があります。
답글 남기기